“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硏 키워 코로나 이후 대비해야”

입력 2020-05-29 04:05
익산시 월성동에 있는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전북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가 주목받으면서 전북도와 전북대가 연구소를 국립감염병연구소 ‘분원’으로 전환하거나 인근에 ‘본원’을 유치해 코로나19와 향후 전염병과 감염병 확산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김동원 전북대 총장은 2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기능을 그대로 두되 인근에 국립감염병연구소 ‘본원’을 유치하자고 전북도에 제안했다.

김 총장은 “정부가 감염병연구소 본원 설립을 검토하는 충북 오송지역 주변에는 민가가 있어 인체 감염 위험성이 내재해 있다”며 “반면 인수공통연구소가 있는 익산은 그렇지 않아 위험에서 자유로운 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감염병 연구가 필요하다면) 우선 인수공통연구소에 분원을 두되 향후 인근에 본원을 신축해 연구를 수행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그렇게 된다면 감염병 국가연구기관 유치와 인수공통연구 활성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지난 25일 기자회견을 통해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국립감염병연구소 분원 전환 필요성을 발표했다. 송 지사는 “국립 전염병연구소 설립 방향이 제시된 상황에서 기존 시설(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을 분원으로 활용하면 감염병 연구·치료를 위한 예산 인력 장비 등에서 엄청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두 기관장의 방안에 차이가 있지만 코로나19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그동안 예산 부족으로 연구에 어려움을 겪어 왔던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의 운영을 확대하고 적극 활용하자는 것에는 뜻이 모아지고 있다.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는 2015년 8월 국비 371억원 등 432억원이 투입돼 아시아에서 가장 큰 규모로 문을 열었다. 최대 5435두의 실험동물 사육이 가능하고 중·대동물 차폐실험실(BL3)을 갖췄다.

그러나 시설과 장비만 갖췄지 정부의 외면으로 연구 인력도, 연구 예산도 턱없이 부족하다. 전북대부설연구소로 지정돼 있어 교육부 예산으로만 운영해왔다. 올해 운영 예산은 8억5000만원이다. 이 금액으론 시설관리 밖에 할 수 없다. 정식 연구원(교수)은 3명뿐이고 보조연구원까지 합치면 30여명 수준이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0일 ‘대통령 취임 3주년 특별연설’에서 “질병관리본부를 질병관리청으로 승격해 전문성과 독립성을 강화하고, 감염병 전문병원과 국립 감염병연구소 설립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