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회동서 아마도… 文-여 “추경 신속처리”, 야 “이-박 사면”

입력 2020-05-28 00:31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6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21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28일 문재인 대통령과 오찬 회동을 하는 여야 원내대표는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주요 의제로 꺼낼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이 여야 원내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한 것은 2018년 11월 5일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 첫 회의 이후 1년6개월 만이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배석자 없이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을 만난다. 개원을 앞둔 여야 원내대표와 상견례를 하면서 국정 전반을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한 초당적 협력과 3차 추가경정예산안 신속 처리 등을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원내대표도 과감한 재정 지출의 선순환 효과를 강조하며 신속한 3차 추경 처리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인다.

통합당은 3차 추경 계획에 대해 꼼꼼히 살피겠다는 방침이다. 주 원내대표는 27일 기자들과 만나 “현재까지 3차 추경과 관련해 정부 입장을 공식적으로 전달받은 바 없다. 3차 추경을 하게 된다면 내용과 사용처, 재원 조달 방법 등을 다 듣고 난 뒤 우리 당 입장을 전할 것”이라며 “국정 전반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말씀 나누는 자리라고 들어서 전반적으로 내용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 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 사면 논의도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퇴임 간담회에서 사면을 언급한 뒤 통합당 내부에서도 사면을 이야기할 때가 됐다는 기류가 형성됐다. 다만 아직 형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논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는 회의론도 존재한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사면 반대 여론이 거세다.

20대 국회에서 한 차례 가동된 국정 상설협의체의 역할을 살려가기 위한 ‘협치의 제도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당시 협의체는 2차 회동을 계획했지만 20대 회기 내내 여야 갈등이 좁혀지지 않아 없던 일이 됐다. 당시에는 5당 원내대표가 모두 참석했지만 21대 국회에서 거대 양당 체제로 재편되면서 참여 대상이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