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미국 등 서방세계와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이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하기 위해 수출 중심에서 내수 위주로 경제 전략을 전환하려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세계적으로 중국 경계론이 부상하는 등 중국과 서방세계의 디커플링(탈동조화) 움직임이 가속화될 것이란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2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23일 열린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경제계 위원 연석회의에서 “앞으로 국내 유통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새로운 경제 발전 계획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향후 내수를 출발점이자 기반으로 삼아 완전한 내수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하고, 과학기술 및 다른 분야의 혁신을 대대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시 주석의 발언은 중국이 1990년 채택해 지금의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된 ‘국제경제대순환’ 전략을 포기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SCMP는 분석했다.
중국의 경제 전문가 후싱더우는 이에 대해 “미국이나 서방세계와의 탈동조화 등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한 일종의 대비책”이라며 “중국은 역경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그는 다만 “중국이 그동안 진행해온 시장 개혁을 포기해서는 안된다”며 “중앙정부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폐쇄적 형태의 계획경제로 돌아가서도 안 된다”고 조언했다.
중국은 기존 수출중심 성장 전략에 따라 부품을 수입해 완제품으로 재수출하는 식으로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했지만 미·중 간 무역·기술 전쟁과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 각국에 경제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시 주석은 “중국은 세계 경제의 깊은 불황과 보호무역주의 및 일방주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 외부적 악재에 직면해 있다”며 “우리는 기술과 시장에서 더 자립하고, 디지털 경제와 스마트제조, 생명과학, 신소재 분야 등을 성장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ANZ은행 이코노미스트 레이먼드 영은 “중국의 전략적 전환은 향후 2~3년간 외부 수요가 회복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문제는 어떻게 경제 전환을 하느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CNBC는 코로나19 이후 중국 내 생산시설 가동 중단으로 어려움을 겪은 기업들이 위기관리 차원에서 중국 외 다른 지역으로 공급망 다변화에 나서고, 미국 등 일부 국가가 기업들에 생산시설의 자국 이전을 압박하면서 중국이 ‘세계의 공장’ 지위를 상실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 경영전략 컨설팅 업체인 베인앤드컴퍼니 부사장인 게리 마티오스는 CNBC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는(코로나19는) 모든 기업의 주의를 촉구하는 계기가 됐다”며 “우리는 생산시설을 확장하기 위해 과거에 주목하지 않았던 새로운 지역을 바라보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 구조조정 컨설팅 업체 알바레즈앤드마살 전무이사인 린 하오르도 “생산 거점을 옮기는 결정은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면서 “그럼에도 정치가 공급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업의 국외 영업에 대한 정치적 압력이 증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의 역할에 대한 검토가 이어진다면 탈중국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