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 연관된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발생 사례가 잇따르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2건의 신고가 접수돼 방역 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와 관련한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감시 및 조사 체계를 전날부터 가동해 26일 0시를 기준으로 2건의 의심신고 사례를 접수했다고 밝혔다. 곽진 방대본 환자관리팀장은 이날 “2건 중 10대 환자는 다기관염증증후군 신고 기준에 해당하고, 10세 이하인 다른 환자는 신고 기준에 부합하지 않지만 일단 신고가 접수돼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질환은 만 19세 이하 소아·청소년에게 38도 이상의 발열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염증 검사 반응이 있고, 2개 이상의 장기 침범이 확인돼 입원이 필요한 중증 상태일 때 의심해볼 수 있다. 아울러 염증의 원인이 되는 다른 병원체가 확인되지 않고, 현재 또는 최근 코로나19 감염의 증거가 있거나 발병 전 4주 이내에 코로나19에 노출력이 있는 경우 코로나19와 연관지어 볼 수 있다.
국내 발생 두 사례는 모두 코로나19 감염을 진단하는 PCR 검사에선 음성이 나왔다. 다만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PCR 검사는 현재의 감염이나 환자 상태이기 때문에 과거 확진자 명단에 있었는지, 가족·접촉자 중에 환자가 있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와 연관된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은 지난 4월 유럽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미국 등 13개국으로 퍼졌다. 이 질환의 증상을 보이다가 사망한 어린이들이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기 때문에 코로나19와 연관성이 있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일부는 양성 반응이 나오지 않아 두 질병 간 연결고리는 여전히 모호하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