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전자명부, 착한 선(先)결제, 해외 입국 주민 전수조사, 에어클린 인증제….
서울 자치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고 침체된 경제를 살리기 위해 선도적으로 시행한 정책들이다. 서울 자치구발(發) 정책들이 전국의 표준이 되고 있다.
성동구(구청장 정원오)는 지난 15일부터 노래방, PC방 등 집단감염 위험성이 높은 밀집장소에 전국 최초로 첨단 정보통신기술(IT)을 활용한 비접촉 방문관리시스템 ‘모바일 전자명부’를 도입했다. 이태원 클럽 출입자 수기명부 다수가 허위로 확인되면서 방역관리에 비상이 걸리자 이에 착안해 만든 것이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PC방 등 출입자가 업소 방문시 NFC 태그 또는 QR코드를 스캔하는 것으로 본인 확인부터 증상여부 체크까지 단번에 이뤄진다. 정부도 다음달부터 클럽 등 감염병 확산 고위험 시설에 전자출입명부 도입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서초구(구청장 조은희)는 해외입국 확진자가 증가하자, 전국 최초로 모든 해외입국 구민에 대해 코로나19 전수조사를 하는 관리모델을 도입했다. 이 정책은 서울시에 이어 전국으로 확대 시행됐다. 빠른 검사로 집단감염에 대비하는 취합검사법을 서울시 최초로 요양병원에 적용했다. 정부도 군 입영장병 전원에 대해 취합검사법을 시행하고 있다.
양천구(구청장 김수영)는 지난 3월부터 코로나19로 어려운 소상공인들을 돕기 위해 ‘같이 해서 가치있는’ 착한 소비 운동을 시작했다. 착한(善) 결제란 평소 자주 방문하는 음식점 등에서 미리 일정금액 이상 결제를 해두고, 다시 찾아오겠다고 약속하는 것이다. 양천구 관계자는 25일 “착한 결제 운동은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고 소상공인 매출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강남구(구청장 정순균)는 여름철 음식점 이용자들의 코로나19 감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0일부터 전국 최초로 ‘에어클린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필터 교체 등 에어컨 청소를 한 식품접객업소에 소독용품·위생마스크를 지급하고 ‘에어클린 위생업소 인증’ 스티커를 부착한다. 노원구(구청장 오승록)는 마스크 품귀 현상이 벌어졌을 때 전국을 돌며 마스크 110만장을 모아 처음으로 모든 주민에게 1인당 2장의 마스크를 배부했다.
영등포구(구청장 채현일)는 전국 최초로 금융권과 협약을 맺고 소득이 급감한 지역예술인들을 돕기 위해 1억원 규모의 1.5% 저금리 대출을 지원하고 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