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경영정상화를 위해 3조원 규모의 자구안을 추진 중인 두산그룹이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휴업 대상자를 저성과자, 고연령자 위주로 선별하고 명예퇴직을 강요했다는 이른바 ‘명퇴·휴업 강요 논란’과 ‘두산베어스 매각설’이 대표적이다.
두산중공업은 21일부터 350여명에 대한 7개월간의 휴업을 시행한다. 앞서 두산중공업은 두 차례에 걸쳐 750여명의 명예퇴직 신청을 받았지만 “신청자가 예상보다 적어 추가 조치가 불가피하다”며 지난 18일 전체 직원 6500여명의 5.5%인 350여명에게 휴업을 명령했다. 두산중공업 노동조합은 이날 고용노동부 창원지청 앞에서 ‘휴업 대상자 부당 선별’ 규탄 집회를 여는 등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번 휴업 대상자 중 사원·대리급이 20여명이나 되는 등 대상자 선정 기준이 공평하지 못하다는 게 노조 측의 주장이다. 근로기준법 규정대로 공평하게 휴업 대상자를 정하려면 직원들이 순환 휴업하도록 하는 게 맞는데, 사측이 향후 정리해고를 위해 일부 직원을 특정해 휴업을 강요했다는 것이다. 노조는 “80년대생인 사무직 사원·대리급들이 ‘저성과자’라는 이유로 명퇴를 강요당하고 이에 불응하니 휴업 대상자가 됐다”며 “20대 직원 4명도 휴업 대상자가 됐다가 ‘차라리 퇴직금을 받겠다’며 명퇴를 신청했다”고 말했다. 과거의 ‘두산인프라코어의 20대 사원 명퇴 요구 논란’과 다른 게 없다는 입장이다.
사측은 ‘업무평가 점수를 휴업 대상자 선정에 참고한 건 맞지만, 명퇴를 강요한 적은 없다’고 했다. 두산중공업 관계자는 “휴업 대상 선정 때 업무 평가 점수를 참고한 건 맞지만 주된 기준은 부서·공장별 업무 감소량이었다”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해 사무직들이 순환 휴직에 나서는 등 오랜 기간 고정비 절감 노력을 펼쳐왔다.
이밖에도 채권단이 두산에 두산베어스 매각을 요구했다고 알려져 업계 안팎에 파장이 일었다. 그간 두산베어스는 두산솔루스, 두산퓨어셀, 두산타워 등 두산그룹의 매각 추진 추정 목록에 오른 적이 없다. 주요 계열사, 자산과 비교하면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두산그룹이 두산중공업을 살리기 위해 ‘돈 되는 건 다 판다’는 입장이다 보니 채권단 입장에선 두산베어스 매각을 검토할 여지가 충분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두산그룹은 “두산베어스 구단 운영에서 나오는 경제적 효과가 상당하므로 매각 계획이 전혀 없다”며 입장을 내기에 이르렀다. 채권단도 공식적인 입장을 통해 ‘베어스 매각을 요구한 적 없다’며 논란 잠재우기에 나섰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