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방정부 차원의 공공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한다. 올해 하반기까지 자치구 보건소별로 감염병 전담의사를 1명씩 배치한다. 감염병 대응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지방정부 최초로 감염병 연구센터와 역학조사실을 신설한다.
박원순(사진) 서울시장은 20일 이같은 내용의 서울형 표준방역모델 구축 및 재난대응 의료체계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서울시 차원의 감염병 대응단계를 7단계로 세분화했다. 중앙정부의 감염병 대응 단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다. 시는 지방정부의 현실과 상황에 좀 더 기민하게 대처하기 위해 경계와 심각 단계를 각각 두 단계로 나누고 회복기 단계를 따로 두었다.
서울시는 올 하반기까지 관련 전문가들로 감염병 연구센터를 구성, 감염병 유행 예측과 대응책을 연구할 방침이다. 또 신속하고 전문적인 역학조사를 담당할 ‘역학조사실’을 신설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혁혁한 공을 세운 신속대응단과 자치구 역학조사관의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나아가 생활 속 거리두기 지침 및 매뉴얼 작성, 방역물품 확보·보급 등 상시 방역관리를 담당할 ‘방역관리팀’을 신설하고 공공의료의 감염병 대응능력 강화 및 조정을 위해 공공보건의료재단 내 시립병원 운영혁신센터를 만든다. 12개 시립병원 중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서남병원, 서북병원에 각각 감염병 특화센터를 설치한다.
서울시는 신속한 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공공의료인력 확충이 필수적이라고 판단, 내년에 시립병원 감염내과, 호흡기내과 의사를 13명 충원한 후 순차적으로 공공의료인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기존 의대 체제에서 인력확보가 어려운 응급외상, 감염성질환 역학조사, 호스피스 등 공익성이 강한 특수 분야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지방정부 차원의 공공의과대학 설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여러 지방정부와 공동으로 공공의과대학을 설립하는 방안도 논의한다.
박 시장은 미국 워싱턴·와이오밍·알래스카·몬태나·아이다호 주가 연합해 설립한 미국 WWAMI(와미) 주립의과대학을 예로 들었다. 이 대학은 주마다 연간 10명씩 인원을 선발한다. 또 서초구 원지동 종합의료시설 부지를 활용해 종합병원과 국내·외 공공의료 관련 R&D(연구개발) 기관을 설치·이전해 ‘서울시 공공의료타운’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방역물품을 시 차원에서 비축해 감염병 재확산에 대처하기 위한 ‘서울시 재난관리자원 통합비축창고’ 일명 ‘서울의 방주’를 만들기로 했다. 비축창고 건립 장소로는 (구)소방학교 일대를 검토중이다. ‘서울의 방주’에는 의료기관과 감염취약계층이 약 30일간 사용할 수 있는 분량의 방역물품을 확보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2차 재유행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공공선별진료소를 기존 46곳에서 100곳 이상으로 확대하고 거동이 불편한 요양병원 입소자, 중증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이동검체 채취반도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