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가 이번에는 ‘착한 집세 운동’을 이끌어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어려움에 부닥친 자영업자들을 돕기 위해 시작한 ‘착한 임대 운동’처럼 성과가 주목된다.
김승수 전주시장과 원룸·오피스텔·단독주택 등 건물주 33명은 19일 전주시청에서 집세를 인하하는 ‘착한 집세 상생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세입자들의 고통을 분담하고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한 것으로 건물주들은 앞으로 3∼5개월간 집세의 10∼30%를 덜 받기로 했다. 이에 따라 각 건물에 세 들어 사는 385명이 혜택을 보게 됐다.
주택 건물주 김모씨는 “지난 메르스 사태 때 건물주가 집세를 인하해줘 큰 힘이 됐던 경험이 있다”면서 “건물주가 돼서 임차인들을 도울 기회가 생겨 기쁘고, 세입자와 함께 코로나19 위기를 함께 극복해 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전주시가 상가에 이어 주택까지 월세를 깎아주는 착한 임대 운동을 이끌고 있는 것은 ‘주거권이 가장 기본적인 인권’이라는 판단에서다. 시는 주택 건물주와 세입자들이 상생할 수 있는 ‘착한 집세 운동’이 ‘착한 임대 운동’처럼 나비효과를 일으켜 전주 전역으로 확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서 전주시가 지난 2월 전국 최초로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임대료를 10% 이상 인하한 ‘착한 임대 운동’은 전북을 넘어 정부와 전국 다수의 지자체, 공공기관, 기업, 종교계, 연예계 등으로 퍼져 나갔다.
현재 전주시의 착한 임대 운동에 동참한 건물주는 180명, 혜택을 받고 있는 임차인은 468명에 이른다. 여기에 ‘착한 집세 운동’ 동참자까지 합치면 조만간 건물주는 250명, 수혜 임차인은 1000명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주에서 이같은 착한 임대인들이 꾸준히 나오는 것은 가장 인간적인 도시를 만들기 위한 정책에 기꺼이 동참하는 시민들의 공동체 정신이 살아있기 때문이라고 전주시는 보고 있다. 또 시가 둥지내몰림현상(젠트리피케이션)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주거복지정책을 펼쳐온 점과 부동산 중개업소, 지역별 건물주 등의 협력이 한몫했다고 풀이하고 있다.
김 시장은 “착한 임대료에 이어 착한 집세까지, 건물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고통 분담과 상생 분위기 확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마음과 마음을 잇는 사회적 연대와 공동체의 힘으로 코로나19 경제위기를 극복해 나가자”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