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기억연대 쉼터사업 논란에 이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한 주거복지시설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 집(이하 나눔의 집)’에서도 부정 운영 의혹이 터져 나왔다. 나눔의 집 직원 등 공익제보자들은 운영진이 의료 등 생활에 필수적인 복지조차 제대로 제공하지 않으면서 할머니들을 학대하고 있으며, 할머니들을 위해 써 달라고 국민이 기부한 130억원대의 재산을 쌓아만 두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고발을 통한 경찰 수사까지 진행되면서 논란은 더 커지는 양상이다.
김대월 학예실장 등 나눔의 집 직원 5명은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나눔의 집이 할머니들을 안전하고 전문적으로 돌보지 않고 있다”고 폭로했다. 경기 광주시 퇴촌면에 위치한 나눔의 집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거주 및 생활을 위해 1992년부터 운영 중인 주거복지시설이다. 현재 6명의 할머니가 거주하고 있다.
나눔의 집은 할머니들이 안락하고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운영돼야 하지만 운영진은 오히려 학대를 일삼아 왔다고 직원들은 주장한다. 할머니들에게 필수적인 치료나 식사조차 부실하게 제공해 왔다고 한다.
지난해 6월 할머니 1명은 기울어진 침대에서 떨어져 눈썹 위가 찢어지는 부상을 입었다. “할머니를 병원에 모시고 가야 한다”는 직원들의 요청을 운영진이 거절했다고 한다. 직원들을 대리하는 류광옥 변호사는 “뭐하러 가냐는 식으로 나와서 직원들이 운영진 몰래 병원에 데려다 줬었다”고 말했다. 소고기를 좋아하시는 할머니를 모시고 외식을 하자고 직원들이 요청했을 때 돌아온 답은 “할머니들 버릇 나빠진다”였다고 한다. 치아 상태가 좋지 않은 또 다른 할머니에게 직원들이 대체식을 제공하려 했지만 역시 운영진이 막았다. 이후 이 할머니에게는 그저 맨밥만 제공됐다고 한다.
할머니들의 생활과 복지에 써 달라며 매월 2억원가량 들어오는 기부금은 모아만 두고 있다는 게 직원들의 주장이다. 김 학예실장은 “기부금이 쌓여 법인은 현재 60억원이 넘는 부동산과 70억원이 넘는 현금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 문제를 그대로 방치하면 국민이 기부한 돈은 노인요양사업에 쓰이게 될 것”이라고 했다. 실제 재단 이사진은 지난해 2월 열린 이사회에서 고령인 할머니들이 모두 돌아가신 뒤에 시설을 철거하고 호텔식 요양시설을 지어 수익을 내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경찰은 고발장을 접수하고 수사에 착수했다. 국민일보는 나눔의 집 운영진의 입장을 듣고자 수차례 연락을 취했지만 닿지 않았다.
▶
▶
▶
광주=황윤태 기자, 정현수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