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쇼크’ 이후… 서울시민 10명 중 6명 “원인 미상 감염 우려”

입력 2020-05-19 04:02

서울시민들은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 발생 이후 무증상 감염,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 발생을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현행 ‘생활 속 거리두기’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처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10명 중 6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코로나19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해 지난 14~15일 리얼미터에 의뢰해 만 18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를 18일 발표했다.

우선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 이후 가장 우려하는 상황이 무엇이냐는 질문(복수응답)에 2차감염 확산(64.5%)과 원인미상 감염 발생(63.9%)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나머지 응답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로의 회귀(42.2%), 확진자 신상공개 등 인권침해(14.7%), 개인정보침해(9.3%) 등이었다. 현재 ‘생활 속 거리두기 단계’에서 다시 강도높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선 ‘현행 유지’(59.2%)가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39.3%)보다 많았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인식이 높아졌다. 코로나19 종식 예상 시점을 묻는 질문에 올해 12월 이후 종식될 것이라는 전망이 53.3%로 가장 높았다. 이는 지난 4월 같은 조사때보다 25.9%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반면 8월 이내 종식될 것이라는 전망은 28%로, 4월보다 25.2%포인트 감소했다.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에 대한 서울시의 대응에 대해선 대다수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클럽 주변 통신사 기지국 접속자 명단을 확보해 검사안내에 활용한 조치에 대해 91.7%가 적절한 조치라고 답했다. 국민건강권 보호가 우선이라는 이유에서다.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있어 부적절하다는 응답은 7.2%에 불과했다. 익명검사 도입에 대해선 ‘도움이 된다’(95.2%)는 견해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서울시내 모든 유흥시설에 대한 집합금지 명령에 대해서도 76%가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운영 자제권고 수준이 적절하다는 의견은 19.6%,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응답은 3.9% 수준이었다.

정부가 발표한 전국민 고용보험제도 도입에 대해 79.3%가 찬성했고 반대 의견은 16.5%였다. 고용보험 확대범위는 특수형태근로자(방문교사, 택배, 대리운전 기사 등) 포함에 찬성하는 비율이 83.9%로 가장 높았고 프리랜서(간병, 아동돌봄, 플랫폼노동자 등) 77%, 소상공인(자영업자) 72.6% 순이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