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에서 참패한 정의당이 17일 당의 리더십 교체와 전면적인 쇄신을 위해 혁신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심상정 대표는 내년 7월 임기를 단축시켜 오는 8월 말 혁신 당대회를 마친 뒤 사퇴하기로 했다. 심 대표가 혁신위 구성 제안과 동시에 조기 사퇴 의사까지 밝히면서 ‘포스트 심상정’을 둘러싼 정의당 내부의 치열한 논의가 예상된다.
심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전국위원회에서 “당의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어젠다를 혁신하며 새로운 리더십으로의 교체를 준비하기 위해 독립적인 집행 권한을 갖는 혁신위 구성을 제안한다”며 “혁신위에서 준비된 당 혁신 과제와 발전 전략을 혁신 당대회에서 결실을 맺도록 잘 뒷받침하는 게 당대표로서 마지막 소임”이라고 밝혔다.
특히 심 대표는 “당대회 직후 조기 당직 선거가 실시될 수 있도록 내 임기를 단축할 것”이라며 “남은 기간 동안 당의 혁신 사업을 뒷받침하고, 총선 이후 닥친 과제가 소홀해지지 않도록 공백을 메우는 데 최선을 다해 마무리하겠다”고 말했다. 내년 7월까지가 임기인 심 대표와 함께 김종민 박예휘 부대표도 동반 사퇴의 뜻을 밝혔다.
이날 격론 끝에 통과된 혁신위 구성안은 15명 이상으로 구성되는 독립적인 실행기구다. 국회의원과 지방의원 등 전현직 선출직 공직자와 지역위원장, 당 내외 전문가 그룹 중에서 전국위원들이 추천한 인사들로 구성할 방침이다. 2030세대는 30% 이상, 여성은 절반 이상 참여토록 하기로 했다. 현 상무집행위원들은 혁신위원 추천은 물론 구성 과정에서도 배제키로 했다. 혁신위는 그동안 정의당 내에서 논의됐던 다양한 안건에 대해 전권을 갖고 논의하게 된다. 과거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당시 찬반 입장을 놓고 내부 갈등이 불거졌던 사례 등을 반성 삼아 다양한 정치 노선 이슈에 관해 논의할 전망이다. 리더십 교체뿐 아니라 현 지도체제 유지 등 리더십 혁신 방안, 당원 제도에 대한 변화 등 조직 문제까지 모두 포괄하게 된다. 당초 혁신위가 7월 26일 정기 당대회 때 혁신안을 보고하는 방안이 제안됐으나 시간이 짧다는 지적에 따라 혁신위가 8월 말 이내 당대회 개최 일정을 정하도록 했다.
정의당은 이날 회의에서 21대 총선 평가와 관련, 정치적 의미가 담겨 있는 총괄 평가서를 전국위에서 확정키로 결정했다. 특히 이번 선거 과정에서 선거 재정 마련을 위해 진행했던 100억 프로젝트 모금에 대해서는 사실상 실패이며, 당에 재정적 부담을 남겼다고 평가했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