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 쉼터 ‘수상한 거래’ 의혹… 방만 운영도 눈살

입력 2020-05-18 04:01
사진=윤성호 기자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쉼터 목적으로 구입했다 매각한 경기도 안성 ‘평와와 치유가 만나는 집’(이하 쉼터)의 매매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현지 부동산 사정을 잘 아는 이들 사이에서는 “정의연이 쉼터 매매 과정에 방만하게 임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정의연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2013년 9월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상중리의 2층짜리 단독주택을 7억5000만원에 구입했다. 이를 두고 구입 대금이 당시 시세보다 과도하게 높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인근 한 부동산 업자는 “당시 스틸하우스 공법으로 심플하게 지었으면 통상 평당 300만~350만원이 건축비로 들어간다”고 말했다. 쉼터 건물의 연면적(195.98㎡)을 고려하면 건축비는 2억원 안팎이다. 토지 가격을 넉넉히 평가해도 7억5000만원은 과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물론 들어가는 자재에 따라 건축비가 천차만별이라는 반론도 있다. 쉼터 토지·건물 보유자였던 건설업체 대표 김모씨는 “남들 400원짜리 벽돌 쓸 때 1000원짜리 쓰고, 내부 인테리어도 좋은 자재로 꼼꼼하게 했다. 총 9억원이 들었는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위해 쓴다고 해 싸게 팔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의연은 쉼터를 목적대로 운영하지 못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쉼터에 상주하는 피해자 할머니는 없었고, 일반 펜션처럼 이용된 정황이 나오기도 했다. 정의연은 2016년 쉼터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하고 매각에 나섰다.

지난달 23일에야 4억2000만원에 인근의 70대 노부부에게 팔렸는데, 매입 가격에 비해 헐값으로 판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한 공인중개사는 “지난해 6월쯤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정의연 전 이사장)으로부터 팔아 달라는 연락이 왔고, 4억5000만원에 물건을 내놓기로 했었다”며 “지난 3월쯤 그 집이 나갔다는 소식을 뒤늦게 들었다”며 황당해했다.

헐값 논란에 대해서는 현지에서도 말이 엇갈렸다. 한 부동산 중개업자는 “지난해부터 화장터가 들어온다고 해서 일대 집값이 다 떨어졌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중개업자는 “화장터는 다른 지역에 들어섰는데 그곳 집값도 안 떨어졌다.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했다.

다만 정의연의 방만한 운영에 대해서는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한 공인중개사는 “동네에서 4억5000만원 주고 단독주택 사면 제 정신 아니라는 소리가 나온다. 자기 돈 아니라고 아무렇게나 쓴 것 아니냐”며 “비싸게 샀다면 손해는 보지 않도록 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최지웅 기자, 안성=정우진 기자 wo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