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은 코로나19 위기에 인력 감축보다 유동성 확보와 비용 절감으로 버티며 생존전략을 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코로나19 위기가 6개월 이상 지속하면 인력 구조조정 없이 경영 유지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달 13∼24일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종업원 300인 이상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120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기업 구조조정 현황’을 설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설문 결과 코로나19 피해 최소화를 위해 현재 취하거나 논의 중인 대응전략으로 가장 많은 답변은 ‘금융자금 조달 등 유동성 확보’(22.5%)였다. 이어 휴업·휴직(19.4%), 성과급·복지비 등의 급여 삭감(17.5%)과 같은 비용 절감 방안이 뒤를 이었고, 명예·희망퇴직이나 정리해고, 권고사직 등 인력 감축은 8.8%로 나타났다.
급여 삭감을 결정한 기업의 경우 직원 월급의 평균 7.9%, 임원 월급의 평균 15.0%를 삭감하려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급 삭감 폭을 묻자 응답 기업의 78.6%가 0∼10%라고 답했고 10∼20%(17.9%), 30∼40%(3.6%) 순으로 뒤를 이었다.
휴업이나 휴직을 실시·논의하는 경우 평균 휴직 기간은 1.2개월로 조사됐다. 2주 이내 휴업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48.4%로 가장 많았고, 1∼2개월(19.4%), 2주∼1개월(12.9%), 2∼3개월(12.9%), 4개월 이상(6.5%) 순이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영 악화가 지속할 경우 인력 구조조정(감축)을 하지 않고 영업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을 묻자 전체 응답 기업의 67.5%는 6개월 이상이라고 답했다.
이어 2∼4개월(16.7%), 4∼6개월(9.2%), 0∼2개월(6.7%) 등 순으로 답해 응답 기업 3곳 중 1곳은 코로나19가 6개월 이상 지속할 경우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업·휴직 추진 기업 중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을 받는 곳은 19.4%에 그쳤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