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발병지인 중국 후베이성 우한은 점차 일상을 되찾고 있지만 시민들은 여전히 실제 사망자 숫자 등 코로나19 사태의 진실을 원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7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드론 회사 영업사원으로 우한에서 각종 물품을 가정에 배달하는 자원봉사를 한 톈시(33)는 지난 2월 4일 목격했던 장면이 여전히 트라우마로 남아 있다.
그날 톈은 물품을 배달하기 위해 한 주택가에 들어서는데 4명의 남자가 검은색 시신 가방을 들고 내려왔고, 이어 여성 2명이 울부짖으며 뒤따랐다. 남자들은 시신 가방을 밴에 실었는데 이미 그 안에는 같은 가방이 몇 개 더 있었다.
톈은 당시 충격을 전하면서 17년 전인 2003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사태 이후 도입한 전염병 조기경보시스템이 왜 전혀 작동하지 않았는지, 코로나19 확산을 경고한 리원량을 왜 경찰이 침묵시켰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우한 부동산 업계에서 일하는 스티븐 청(30)은 임신한 아내와 아버지가 1월 말 코로나19에 감염돼 2주 동안 여러 병원을 찾아갔지만 모두 퇴짜를 맞았다며 “당시 우한의 7개 주요 병원마다 수백명이 병상을 기다리고 있었고, 그 숫자는 대충 추산해도 봉쇄 1주일 만에 1만명을 넘었을 텐데 당시 정부가 발표한 환자 수는 2600여명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작가 후파윈은 “코로나19로 인해 우한시민들은 대부분 절망감을 느꼈고, 궁극적으로 도대체 왜 그런 사태가 발생했는지 묻고 있다”며 “실제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가 얼마나 되는지, 병원들이 코로나19 환자 치료에 집중하느라 얼마나 많은 만성질환자들이 (치료를 받지 못해) 죽었는지 등 가장 중요한 질문에 정부는 답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우한에서 호텔을 2개 운영하는 장중린은 “(지난해) 12월에도 분명히 코로나19 환자가 다수 있었고 내부고발자도 있었다”며 “정부는 그때 분명히 움직이지 않았고, 우리는 스스로 돕기 위해 자원봉사를 했다”고 정부의 문제를 지적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