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의 도시’ 경북 포항이 지속적인 인구감소와 노령화 등으로 성장잠재력이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17일 포항시에 따르면 지난 4월말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50만5209명으로 2015년 11월 52만160명으로 정점을 찍었을 때보다 1만4951명이 줄었다. 또 유·청년 인구 감소와 노년인구 증가로 평균 연령은 2015년 41.0세에서 2019년 43.5세로 2.5세 높아졌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저출산과 함께 철강 경기 침체 지속에 따른 일자리 축소 때문이란 분석이다.
그동안 포항시는 인구 50만명 이상을 유지하면서 대도시 행정 특례 적용을 받았다. 도시개발구역 지정, 일반산업단지 지정 등은 포항시장 승인만으로 가능하고 일반구인 남·북구청 2곳을 설치·운영하고 있다. 1명의 실·국장을 3급 일반직 지방공무원으로 임명할 수 있고 경찰서, 소방서 등도 2곳이 있다. 그러나 인구 50만명 선이 무너지면 이 같은 혜택을 받지 못한다.
시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지난 14일에는 ‘포항시 인구정책 종합계획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인구문제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시정 전반에 걸친 종합적인 분석·평가를 통해 분야별 인구정책 방향 설정과 지역 맞춤형 인구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 8일에는 ‘포항시 인구정책 기본조례’ 제정안을 통과시켜 적극적인 인구정책을 펼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 앞으로 다양한 분야의 인구시책 사업을 심의·자문하기 위한 인구정책 위원회를 구성해 인구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저출생 극복 및 대응기반 구축 공모사업’에 철길숲 스마트 도서관 조성사업이 선정돼 도비 1억원을 확보하는 등 인구정책 실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항시 송경창 부시장은 “지속되는 저출산과 인구유출에 의한 인구구조 변화가 지역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예상·대응하고, 지역에 맞는 맞춤형 전략 발굴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