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멈췄던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이하 신공항) 건설 사업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사업주체 간 갈등이 여전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경북 군위군은 17일 “주민투표를 무시하고 군민 74%가 반대하는 곳을 유치신청해야 한다면 이는 주민투표의 의미가 없는 것”이라며 “민주주의 가치를 훼손하는 것으로 절대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이 군위군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공동후보지 신청 불가 입장을 재확인 한 것이다.
대구시와 경북도, 의성군, 군위군은 올해 초 군위·의성군민을 대상으로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함께 이전하는 신공항 건설에 대한 찬반 주민투표를 실시했고 군위 우보면(단독후보지)과 의성 비안면·군위 소보면(공동후보지) 중 공동후보지가 선택됐다. 그러나 군위가 이에 불복하고 단독후보지를 유치지역으로 신청하면서 계획이 틀어졌다. 여기에 국방부가 투표 후 신공항 입지를 공동후보지로 사실상 결정했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사태가 터져 모든 것이 중단됐다.
신공항 추진에 있어 군위군의 입장은 중요하다. 군위군이 소보지역에 대한 유치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어렵다. 또 군위의 유치 신청 없이 공동후보지를 선정할 경우 법률적 다툼의 가능성이 커 모두에게 부담이다.
김영만 군위군수는 “이전부지 선정의 얽힌 매듭을 풀기 위해서는 국방부가 조속히 선정위원회를 열어 후속 절차를 진행하는 것 뿐”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