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다음 주로 예정된 고3의 등교 일정을 그대로 추진하겠다고 14일 발표한 배경은 3가지로 요약된다. 먼저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재확산 상황이 하루 확진자 20~30명에서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월 말 대구·경북에서처럼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지 않고 있으며 아직까지는 통제 가능한 수준이란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등교를 앞둔 고3 학생들이 자가진단을 해 학교에 보고하고 있으며 고3 학생 감염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은 고3 학생들이 처한 상황이다. 연거푸 입시 일정이 뒤로 밀려 역대 가장 불확실성이 큰 입시를 치러야 한다. 교육부도 지난 3월 말 한 차례 조정된 바 있는 대입 일정을 되도록 손대지 않으려는 등 불확실성을 최대한 줄이려는 방침이다. 만약 고3 등교가 6월 이후로 미뤄지면 수능 일정을 포함해 대입 일정 전반에 손을 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학의 내년도 학사 일정에도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고3이 등교하더라도 학교 현장에서 학생 밀집도를 낮추는 방안이 준비되는 점도 작용했다. 교육부는 학년별 격주제, 격일제 등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한 학급을 둘로 쪼개 한 그룹은 교사가, 다른 그룹은 교사 수업이 생중계되는 모니터로 수업을 듣는 ‘미러링’ 방식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블렌디드 러닝’, ‘거꾸로 학습’(플립 러닝), 단축수업 운영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급식시간을 시차를 두고 운영하거나 간편식을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등교하더라도 감염병 전파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교육부는 ‘쉬운 수능’ 가능성도 일축했다. 입시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공교육이 파행 운영되는 상황에서 수능이 예년처럼 어렵게 나오면 재수생이 유리하다고 분석한다. 따라서 올해는 코로나19란 특수성을 고려해 수능 난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예년 난도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강조하고 있다. 자칫 ‘물수능’으로 더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학원가 단속 강화는 다목적 카드로 보인다. 학교는 막아놓고 학원은 열어놓은 상황에서 ‘강사→학생→강사’ 등으로 감염병이 확산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학원 전파를 막지 못하면 학교 방역도 한계가 있다. 또한 공교육 파행에 따라 사교육비 부담이 폭증하는 상황도 정부로선 신경 쓰이는 부분이다.
▶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