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기억연대(정의연) 후원금 회계 관련 의혹에 대한 검찰의 본격적인 수사가 시작됐다.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시민단체들의 고발 접수도 이어지고 있다.
서울서부지검은 14일 정의연 의혹 관련 고발사건 배당절차 및 기초조사에 착수했다. 앞서 대검찰청은 한 시민단체가 접수한 고발장을 서울서부지검에서 수사토록 내려보냈다. 검찰은 정의연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운영과정에서 모은 후원금을 목적과 절차를 지켜 사용했는지 들여다볼 방침이다. 특히 후원금이 정해진 목적 외에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 등 단체 관련자들에 의해 사적으로 유용된 정황이 있는지도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정의연은 기부금 지출총액과 세부사용내역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등 기부금 전용과 회계관리를 부실하게 한 의혹을 받고 있다.
윤 당선인이 정의연과 정대협이 아닌 개인 명의의 은행계좌로 일부 후원금을 받은 점이 업무상 횡령에 해당할 여지가 있는지도 주요 수사 포인트 중 하나다. 이에 대해 정의연 측은 “윤 당선인은 2019년 1월 김복동 할머니 별세 당시 상주 자격으로 장례를 치렀으며, 통상 다른 단체들처럼 조의금을 받기 위한 상주 계좌를 공개한 것”이라며 “그렇게 모금한 조의금으로 발인 당일 모든 장례를 치르고, 남은 조의금은 고인의 뜻에 따라 기부·장학금으로 사용됐다”고 해명했다.
정의연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시민단체의 고발은 이어지고 있다. ‘사법시험준비생모임’은 이날 윤 당선인 등을 기부금품법 위반, 업무상 횡령·배임, 사기 등 혐의로 서울서부지검에 고발했다. 이들은 고발장에서 “정의연과 정대협은 수천만원의 회계 오류가 발생했음에도 증빙서류 제출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보수단체인 ‘자유대한호국단’도 “그동안 거짓 주장으로 후원금을 모았다”며 윤 당선인 등을 사기 혐의로 고발했다.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와 ‘바른교육권실천행동’ 역시 지난 12일 윤 당선인이 수요시위에서 청소년들을 정신적으로 학대했다며 고발장을 제출한 바 있다.
▶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