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작성한 기밀문서 43건을 우리 정부에 전달했다. 5·18 진상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지난해 11월 외교 경로를 통해 미국에 5·18 관련 문서의 비밀해제 검토를 공식 요청했다”며 “지난 11일 미국은 우리에게 기록물의 추가적인 비밀해제 사실을 설명하고 문서 사본을 전달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미국이 전달한 기록물은 총 43건으로, 140쪽 분량에 달한다. 모두 미 국무부 문서이며 5·18 당시 주한 미국대사관이 작성해 보고한 문서도 포함됐다. 과거에는 일부 내용이 삭제된 채로 비밀 해제됐지만 이번에는 문서들이 완전히 공개됐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김인철 외교부 대변인은 “신규 문서가 일부 포함된 것 같다”며 “대부분은 기존에 공개된 문서의 일부인데, 삭제된 부분이 비밀 해제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관계기관과 논의한 뒤 기록물의 공개 범위와 시점을 결정할 계획이다.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조사관 34명과 국방부 지원단 20명 및 전문위원 등의 선발을 완료하고 본격적으로 조사에 임하게 됐다”며 조사 개시를 선언했다.
조사위는 “최초 발포 명령자, 헬기 사격 및 각종 인권 침해 사건과 암매장 의혹 사건 등 민주화운동을 총칼로 무자비하게 진압한 40년 전 5월의 총체적 진실을 규명하는 데 전력투구하겠다”고 밝혔다.
2018년 9월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조사위는 조사 결과를 국가보고서로 남길 예정이다. 조사위는 특별법이 진상 규명 범위로 정한 사건들을 조사한다. 최초 발포와 집단발포 책임자 및 경위, 민간인 집단학살, 북한군 개입 여부, 성폭력 사건 등이 조사 대상이다.
송선태 조사위원장은 “대한민국 최초의 5·18 국가보고서로 채택될 조사위의 조사는 진실을 밝히고 국민적 화해를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주호영 신임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는 5·18 40주년 기념식 참석을 위해 광주 방문을 검토 중이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