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북부 작은 마을 노이슈트렐리츠의 고등학교 1학년생 레아 함머마이스터는 두 달 만에 등교했다. 레아는 등교와 동시에 운동장에 설치된 진료소 텐트 안으로 들어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검사 때문이었다.
2m 간격으로 선 레아와 친구들은 진단키트를 집어들었다. 면봉을 입 안 깊숙이 집어넣어 목구멍 안쪽 벽면을 긁자 약간의 구역질이 났다. 시험은 3분도 걸리지 않았다. 다음날 레아는 다행스럽게 음성 반응을 통보받았다. 학교에 가서 초록색 스티커를 받았다. 나흘 후 다시 테스트받기 전까지는 마스크를 쓰지 않고도 학교 안을 돌아다닐 수 있다는 표시다.
바이러스 확산세가 잦아들자 유럽과 아시아 국가들이 닫아두었던 교문을 다시 열기 시작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들은 11일(현지시간) ‘코로나 방학’이 끝난 각국에서 다양한 방역 대책을 세우는 교육 당국과 불안해하는 부모들의 모습을 전했다.
중국 베이징시는 최근 개학한 고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체온계를 배포해 실시간으로 체온을 측정토록 했다. 학생들 간 비말 감염을 막기 위해 교내 식당에 플라스틱 칸막이를 설치한 곳도 있다.
로봇과 열화상 기술도 방역에 사용된다. 항저우의 한 유치원은 아이들이 손 씻는 것을 좋아하도록 펭귄 모양의 손 씻기 로봇을 도입했다. 마스크를 벗지 않고도 얼굴을 인식하는 시스템, 적외선으로 동시에 여러 명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도 도입됐다.
호주 시드니는 학생들을 나눠 1주일에 하루만 등교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홍콩, 일본도 비슷한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유럽에서도 아이들 등교가 시작됐다. 지난달 15일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의 문을 연 덴마크에선 학생들을 10여명의 작은 그룹으로 묶어 접촉을 최소화했다. 아이들은 두 시간에 한 번씩 화장실에 가서 손을 씻어야 한다.
지난 4일부터 졸업반 학생들을 시작으로 순차 개학을 한 독일에선 학생마다 지정석을 부여하고 복도에선 일방통행을 하도록 했다. NYT는 “모든 학생이 1주일에 두 번씩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실시토록 한 노이슈트렐리츠의 사례가 특히 눈에 띈다”고 전했다.
학교발 집단감염에 대한 우려 속에서도 아이들을 등교시키는 이유는 개학이 경제 활성화의 필수조건이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학사 일정이 재개되지 않으면 부모들이 일터로 돌아가기 어렵다. 덴마크에서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등학교를 먼저 연 것은 아이들이 어릴수록 부모의 손길을 필요로 하고, 그렇게 되면 부모가 직장에 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노이슈트렐리츠고등학교 교장을 맡고 있는 헨리 테쉬는 “학교는 사회와 경제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며 “학교가 정상화되지 않으면 부모들은 일할 수 없고, 아이들은 미래를 위한 교육의 시간을 빼앗기게 된다”고 NYT에 말했다.
그러나 부모들의 불안감은 여전하다.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 아이들이 덜 위험한지에 대한 판단도 아직은 내릴 수 없다. NYT는 “어른보다 아이들이 심한 증상을 겪을 위험이 낮다는 증거들이 있지만, 어린이에게서도 호흡기나 심장 등에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 사례가 있다”고 전했다. 아이들의 경우 무증상 감염이 많기 때문에 검사나 추적이 쉽지 않다는 점도 등교에 따른 위험이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