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접촉하지 않으며 관계를 유지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새로운 표준을 준비해야 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12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서울연구원이 주최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표준을 이끄는 서울의 정책’ 토론회 기조연설에서 이렇게 밝혔다(사진). 그러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 표준을 만드는 전략으로 방역과 민생경제, 사회적 불평등 해소,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도시, 국제연대를 제시했다.
박 시장은 “우리가 성공적인 방역을 한 것은 시민이 공감하고 이끄는 ‘시민참여형 방역’에 나섰기 때문”이라며 “시민방역은 앞으로 감염병에 대응하는 표준전략이 될 것”이라고 했다. 또 공공병원을 확충하고 민간병원과 협력해 공공의료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동북아 도시와 협력하는 감염병 대응시스템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위기의 경제에 대응하고 시민을 살리는 민생방역의 표준도시 서울을 만들어야 한다”며 “성공적 방역으로 빠른 기회를 잡은 만큼 민생방역에도 철저히 나서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민생방역모델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 서울시의 비전”이라고 했다.
박 시장은 “서울시는 코로나19 이후 노동실태를 철저히 조사해 관리하려 한다”며 “특히 사각지대에 있는 노동실태를 조사해 복지시스템에 준하는 사회보장 시스템을 만들어 확대되는 불평등에 대응할 예정”이라고 했다.
아울러 다섯 가지 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전 국민 고용보험제도 도입, 전 세계 시장들의 포스트 코로나 메가시티 국제연대기구인 글로벌 메가시티 시장단회의(가칭) 발족 참여, 모든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세계를 이끄는 표준과 개념 설계를 제안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