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고성 산불 조기 진화 뒤엔 ‘첨단 과학기술’ 있었다

입력 2020-05-13 04:05
산불 감시하는 드론. 연합뉴스

올 봄 안동·고성 산불의 성공적인 진화는 새로운 산불 종합대책과 과학기술의 현장적용 덕분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1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안동·고성산불을 성공적으로 진화할 수 있었던 7가지 요인을 발표했다.

안동산불은 지난달 24일 도심에서 발생했을 뿐 아니라 강풍에 따른 재난성 산불로 확대될 수 있었지만 인명·재산피해를 최소화 했다. 고성산불의 경우 지난해 고성·속초 산불과 지역 및 발생시간, 바람의 세기, 진화시간이 비슷했음에도 인명피해가 1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산림청은 성공적 산불 진화 요인으로 부처 간 협업 강화, 과학기술에 기반한 산불예방·진화 체계 구축, 공중·지상 진화작전 수립을 꼽았다. 또 인력 동원·배치의 효율화, 효율적인 잔불정리, 소방대원의 국가직 전환 및 산불특수진화대의 정규직화 등도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과학기술에 기반한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은 확산 예상 지역의 주민 대피와 고속도로 통제 등을 선제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했다. 여기에 올해 운영을 시작한 ‘산림드론감시단’을 통해 산불상황에 대해 보다 빠른 판단을 내릴 수 있었다.

특히 소방대원의 국가직 전환으로 전국의 소방대원·소방차를 신속하게 동원할 수 있었고, 산불특수진화대의 정규직화 덕분에 보다 적극적인 산불진화가 가능해졌다고 산림청은 설명했다.

산림청은 향후 지능형 CCTV와 드론 등을 활용해 산불 사각지대를 줄이는 한편 로봇·소화탄·소화약제와 좁은 도로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특수진화차를 개발할 예정이다.

산불 가해자의 신속한 검거를 위해 경찰과 합동으로 잠복 근무조를 현장에 투입한다. 고성산불의 원인이 주택 화목보일러 과열로 추정되는 만큼 화목보일러 굴뚝소재에 대한 규제검토도 병행할 계획이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산불 등 재난업무의 대응 성패는 지역주민, 유관기관 등의 긴밀한 협업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산림청이 보유한 60여년의 산불진화 노하우에 4차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