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위안부 합의 사전에 몰랐다” 전면 부인

입력 2020-05-12 04:02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와의 갈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윤미향(사진)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이 11일 제기된 의혹을 가짜뉴스이거나 폭력적인 음해라며 반박하고 나섰다.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출신인 윤 당선인은 이날 저녁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2015년 박근혜정부 당시 위안부 합의 과정에서 외교부와 소통하고 사전에 합의 내용을 알았다는 의혹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들은 저희에게 설명, 더군다나 협의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외교부 당국자들을 향해 “굴욕적인 협상 당사자들이 책임도 지지 않고 거꾸로 이러는 것을 반성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당선인은 당시 할머니들에게 위로금 수령을 거부하도록 강요했다는 의혹에도 “위로금을 받는 것은 ‘할머니의 결정’이라고 전해드렸다”고 했다. 모금액 49억원 중 9억원만 피해자 현금 지원에 쓰였다는 지적에는 “피해자 지원사업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답했다.

윤 당선인은 지난 10일 이 할머니가 있는 곳을 찾아가 새벽부터 연락을 드렸지만 만나 뵙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할머니에게 “일본군 성노예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 약자들을 위한 정치를 펼치고 싶다”며 “저를 할머니의 도구로 써달라. 다시 손잡고 웃고 싶다”고 전했다.

앞서 윤 당선인은 딸 유학비용이 가계 수입에 비해 과하다는 지적과 관련, 소명 자료를 시민당에 제출했다. 그는 “딸은 장학금을 받아 학비를 일부 충당했고 현재까지 학비와 생활비로 약 8만5000달러(1억370만원)를 사용했다”며 “자녀 유학자금은 간첩조작사건으로 고통받았던 남편의 배상금을 활용했다”고 밝혔다. 1994년 ‘남매간첩단’ 사건에 휘말렸던 남편 김모씨는 재심을 청구해 2017년 대법원 선고에 따라 배상금 2억7900만원을 받았다.

시민당도 윤 당선인 사안은 개인비리나 부정부패가 아니라 이념 문제라며 두둔하고 나섰다. 앞서 불거진 양정숙 당선인 사태 때와 달리 당 차원에서 적극 대응에 나선 이유도 이 때문이다. 제윤경 시민당 수석대변인은 당 차원에서 논평을 내고 “윤 당선인에 대해 사실과 다른 의혹 제기를 하는 최용성 가자평화인권당 대표는 가짜뉴스 유포를 중지하라”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윤 당선인의 상황을 신중히 지켜보고 있다. 이해찬 대표는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언론 보도만 가지고 당이 판단해서는 안 된다”며 “사실관계를 파악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김용현 이현우 기자 bas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