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패션기업들이 화장품 사업 진출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SI), LF에 이어 한섬까지 창사 이래 처음으로 화장품 사업에 뛰어들었다. 패션과 뷰티를 결합해 시너지를 높이고 수익성 높은 사업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패션 전문기업 한섬은 기능성 화장품 전문기업 클린젠 코스메슈티칼(클린젠)의 지분 51%를 인수해 화장품 사업에 진출한다고 11일 밝혔다. 한섬이 가진 브랜드 이미지와 클린젠의 기술력을 토대로 1조5000억원 규모의 국내 프리미엄 스킨케어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클린젠은 서울 강남구 클린피부과와 신약개발 전문기업 프로젠이 공동으로 설립한 회사로 고기능성 화장품을 만들어 왔다.
한섬이 패션이 아닌 사업에 나선 것은 1987년 창사 이래 처음이다. 한섬은 내년 초 스킨케어 브랜드를 론칭하고, 색조 화장품과 향수 등으로 제품군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한섬 관계자는 “기존 패션사업에 편중된 사업구조를 다각화하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화장품 기업을 인수했다”며 “타임, 마인 등 프리미엄 패션 브랜드 운영을 통해 쌓아온 고품격 이미지를 프리미엄 스킨케어 사업으로도 이어가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패션업계는 오랫동안 성장 한계에 직면해 정체된 상황이다. 날씨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처럼 외부 요인에 따라 매출 성과가 좌우되기도 한다. 하지만 화장품 사업은 외부 요인에 따른 영향을 덜 받고 수익성을 올리기 좋다는 강점이 있다.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지만 패션과 뷰티는 시너지를 내기에 좋은 결합이다.
패션기업이 화장품 사업에 진출해 성공한 사례는 SI가 먼저 만들었다. SI는 2012년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 비디비치를 인수해 5년 만에 흑자 전환을 이뤘고, 비디비치는 SI의 효자 브랜드로 거듭났다.
비디비치는 2012년 매출 19억원에서 시작해 2017년 229억원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2018년 1250억원, 지난해 2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며 최근 2~3년 급성장을 이뤘다. 2018년 말 론칭한 한방 스킨케어 브랜드 연작도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SI의 화장품 부문 매출은 3680억원으로 SI 전체 매출의 30%에 이른다.
SI 관계자는 “화장품 사업이 처음부터 잘 된 것은 아니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SI의 주력 사업으로 자리 잡았다”며 “패션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뷰티에도 관심이 많으므로 이 둘의 만남은 긍정적인 시너지를 내는 저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LF는 2018년 남성 화장품 브랜드 헤지스 맨 룰에 이어 지난해 비건 전문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 아떼를 론칭했다. 아떼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비건 인증을 받은 립스틱 등을 출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