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가짜뉴스가 안보 불안 초래… 역공작 펼칠 수도 있다”

입력 2020-05-12 04:03
연합뉴스

‘김정은 건강이상설’ 등 북한 관련 가짜뉴스가 안보 불안을 초래하고 경제 손실을 유발하는 등 국익에 손상을 준다는 분석이 나왔다. 북한이 오히려 이런 가짜뉴스를 활용해 역공작을 펼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는 11일 ‘북한 관련 허위정보 실태와 대응’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건강이상설 관련 가짜뉴스 유통 과정과 이에 따른 안보·경제적 손실을 분석했다. 특히 보고서는 가짜뉴스가 우리 안보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지적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 관련 가짜뉴스는 남북 긴장을 고조시키고 한반도 평화를 흔드는 등 불필요한 분단비용을 소모하게 한다”며 “군이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장기간 대응 태세를 유지할 경우 피로감이 쌓여 오히려 안보 공백을 유발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또 “북한의 역공작 가능성도 유의해야 한다”며 “지성호 미래한국당 당선인이 ‘김정은 사망 99%’라고 한 것이 단순히 자신의 판단이 아니라 북측 정보에 의한 것이었다면 역정보 가능성을 열어둬야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이 내부자를 색출·처단하는 데 가짜뉴스를 활용할 수 있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가짜뉴스 유통에 따른 주식시장 급락 등 경제적 손실도 크다고 짚었다. 이관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장은 “북한 관련 가짜뉴스가 주식시장과 환율, 물가 등에 혼란을 야기해 국민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달 21일 김 위원장 이상설을 제기한 미 CNN방송 보도 직후 코스피지수는 장중 한때 2.99% 급락했다. 원·달러 환율도 전날보다 달러당 9.2원 상승했다.

보고서는 북한 관련 가짜뉴스 근절을 위해 보도 준칙을 제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정부도 북한 관련 정보를 언론과 전문가들에게 최대한 넓게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무분별한 허위정보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