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도 방역과는 동떨어진 행보로 비판받았던 벨라루스의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수만명이 참여한 대규모 군사 퍼레이드를 강행했다.
벨라루스는 이날 옛 소련 국가 중 유일하게 2차 세계대전 승전 75주년 기념 열병식을 진행했다. 매년 대대적인 규모로 행사를 치러온 러시아조차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우려해 전격 취소했지만 벨라루스는 예정대로 기념식을 열었다.
이날 열병식이 열린 수도 민스크에는 수만명의 군중과 3000여명의 군인이 몰렸다. 180여대의 군사 장비도 동원됐다. 군 제복을 차려입은 루카셴코 대통령은 정부 고위 인사, 참전 노병들과 함께 특별단상에 올라 열병식을 지켜봤다. 영국 BBC방송은 일부 고령의 참전 군인을 제외하고 대부분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고 전했다.
벨라루스에서는 10일 기준 총 2만2000명 이상의 코로나19 환자와 121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벨라루스 인구가 944만명임을 감안하면 확진자 수가 적지 않지만 당국은 이렇다 할 방역대책 없이 사태를 방치하고 있다. 이 같은 ‘방역 역주행’의 중심에는 루카셴코 대통령이 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를 ‘전 세계적 정신병이자 광란’으로 규정하며 이웃 국가들의 국경 폐쇄를 “완전히 바보 같은 짓”이라고 비난했던 인물이다. 루카셴코 대통령은 공식석상에서 “보드카를 매일 마셔 바이러스를 죽여야 한다”거나 “농장에서 트랙터를 몰다보면 바이러스가 치유된다”는 등 근거 없는 말을 쏟아내기도 했다.
루카셴코 대통령의 황당 행보는 오는 8월 대선을 의식한 계산된 노림수라는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봉쇄 조치가 경제에 타격을 줄 경우 6선 연임에 방해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해 의도적으로 손을 놓고 있다는 것이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