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의 수요집회 불참 선언 파문을 계기로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당선인 등 관련 여성단체 활동가들의 정계 진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위안부 피해자운동에 앞장서온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정의기억연대 전신) 활동가들은 진보 여성운동의 상징성과 과거사 청산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아 여성가족부 장관과 국회의원으로 발탁되곤 했다.
지은희 전 여성부 장관이 대표적이다. 지 전 장관은 진보 여성운동의 산실인 여성평우회 공동대표를 시작으로 20여년을 여성운동가로 활동했다. 1998년 정대협 공동대표를 맡았던 그는 노무현정부 출범과 함께 여성부 장관으로 취임했다. 5선을 지낸 이미경 전 의원도 정대협에서 활동해 왔다. 이 전 의원은 1987년 한국여성민우회 부회장을 시작으로 정대협 홍보위원장 등을 거쳤다.
문재인정부에서는 신미숙 전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이 정대협 활동가 출신이다. 신 전 비서관은 이미경 의원 보좌관 시절 정대협 활동과 인연을 맺은 뒤 정대협 실행위원을 지냈다.
윤미향 당선인은 위안부 분야에서 누구보다 상징성이 큰 인물이다. 약 30년을 정대협 대표 및 정의연 이사장으로 활동해 왔다. 시민당 비례후보 추천 과정에서 진보 여성운동 진영에서는 그가 국회로 갈 경우 정의연 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았으나 결국 윤 당선인을 추천하게 됐다고 한다.
일각에서는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정계 진출의 한계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시민단체에서 오래 활동한 사람들이 정계에 간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
▶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