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옛 용인시보건소 건물에 위치한 ‘반딧불이 문화학교’(이하 반딧불이) 1층 한 교실에서는 ‘생활 속 거리두기’ 행동수칙 수업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교사가 “외출할 때는 마스크 착용이 필수예요”라고 일러주자 성인 발달장애인 학생 5명은 “마스크는 필수! 필수!”라고 따라 외쳤다. 수업은 손세정제 제작 실습으로 이어졌다. 저마다 만든 손세정제를 손에 뿌려보면서 학생들은 뿌듯한 웃음을 지어 보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하는 행복한 세상’을 슬로건으로 내건 반딧불이는 2003년 6월 설립됐다. 발달장애가 있는 아들의 엄마이기도 한 박인선 교장이 장애인 문화교육 사각지대를 없애보겠다며 지역 주민들의 도움을 얻어 시작한 일이었다. 박 교장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아이가 소리를 지르니까 학원에 보낼 수도 없고, 답답한 마음에 직접 장애인 교육시설을 운영하게 됐다”고 말했다. 반딧불이가 현 건물에 들어온 건 2006년 12월이다. 그전엔 용인시 노동복지회관 3층 사무실 한 칸을 빌려서 썼는데, 용인시에서 비어 있던 옛 용인시보건소 건물을 쓰라며 내줬다.
그렇게 반딧불이는 14년간 낡은 보건소 건물을 장애인 문화교육을 위한 거점으로 가꿔 왔다. 1층에는 교실 2개와 도서관을 들였고, 3층은 목공예 수업과 원예치료수업이 가능한 공간으로 꾸몄다. 옥상에는 텃밭이 들어섰고, 창고는 학생들이 만든 공예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로 탈바꿈했다. 지금까지 1000여명의 장애인 학생과 비장애인 봉사자가 반딧불이를 거쳐 갔고, 올해도 200여명이 이곳을 찾고 있다.
그러나 반딧불이는 이 공간에서 나가야 할 처지다. 용인8구역 재개발사업이 시작되면서 6월 말까지는 건물을 비워야 한다. 대체장소를 물색하고 있지만 현실의 벽이 높다. 박 교장은 “비슷한 규모의 장소는 매달 700만~800만원의 월세를 부담해야 하는데, 비영리단체인 반딧불이가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라고 털어놨다.
대체 공간을 찾지 못하면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이라 박 교장과 직원, 장애인 학생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중학생이던 2010년부터 반딧불이에 다녔고, 현재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자로 행정업무를 배우고 있는 지적장애인 김하나(25·여)씨는 “제게 반딧불이는 집과 같은 곳”이라며 “누구에게 얘기해야 하는 거냐”고 안타까워했다.
용인시도 함께 고민하고 있지만 여의치 않다. 용인시 관계자는 “시 보유 건축물 중에 대체 공간을 찾기 어렵고, 임차료 지원도 다른 장애인단체들과의 형평성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시에서는 향후 3년간 월 200만원의 임차료 지원책을 제시했다.
박 교장은 “장애인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사정을 알게 된 장애인과 학부모, 재능기부를 해 왔던 예술가들은 이전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고, SNS상에서 캠페인 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