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7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전날 대국민 사과를 변화의 의지를 보여준 것으로 평가하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특히 이날 임기를 마친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대한민국 경제의 거대한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다만 여당 내부에서는 “재판에서 면죄부를 받기 위한 과정일 뿐”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이 원내대표는 정책조정회의에서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와 무노조 경영 포기 선언을 삼성의 사법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얕은 눈속임으로 보지 않는다”며 “대한민국 경제의 새 시대로 나아가는 거대한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삼성그룹이 무노조 경영을 포기한 시각, 서울 강남역 철탑 위에서 78일째 농성 중인 (삼성 해고 노동자) 김용희씨가 세 번째 단식을 시작했다”면서 “삼성과 대한민국 기업 경영의 새 출발이 노동 존중 사회로 가는 첫 출발과 일치해야 한다. 이 부회장의 결자해지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우원식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이번 기회를 통해 김용희씨 문제 등 남은 쟁점에 대한 전향적 해결 방안도 나오길 바란다”고 밝혔다.
여당 일각에선 다른 시각도 나왔다. 같은 당 박용진 의원은 MBC라디오에서 “앞으로 잘할 테니 봐 달라는 수준이어서 실망스럽고 ‘면죄부 받기 위한 과정이었구나’라는 생각만 하게 됐다. 아들에게 물려주지 않겠다는 것도 하나마나한 이야기”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이 부회장이 아들에게 경영권을 당연히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걸 반대하지 않는다”며 “대신 (승계에 따른) 세금을 내야 한다. 세금 내지 않고 400조원 넘는 전체 경영권을 날름 가져가려고 하는 이유가 뭔가”라고 따졌다.
이용우 당선인도 YTN라디오에서 “이 부회장이 아들에게 경영권 이양을 안 하겠다고 했는데, 경영권을 이양할 권한은 주주에게 있다”며 “주주의 권한과 경영진의 권한을 혼동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에서 “이 부회장의 사과가 재판과 수사에 영향을 끼치기 위한 일시적 방편이나 꼼수가 아니길 바란다”며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부당하게 얻은 이익을 국민에게 반환하고, 노조 활동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밝혀 달라고 요구했다.
보수야당은 이 부회장의 사과에 대해 호평했다. 미래통합당 김성원 대변인은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의지에 공감하고, 앞으로 실질적인 변화와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며 “다만 변화가 부당한 압박이나 강압적 여론몰이에 의해 이뤄져서는 안 될 것”이라고 논평했다.
미래한국당 조수진 대변인은 “권력이 기업의 팔을 비트는 관행이 이제는 사라져야 한다”며 “기업이 정치권력의 눈치를 보며 머리를 조아리지 않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일에 매진토록 하는 것이 국회가 할 일”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개별 기업의 사과이고, 청와대와 관련 없는 사안이어서 입장이 없다”고만 답했다.
김용현 박재현 기자 fa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