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6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정책을 생활방역으로 전환하는데도, 대구시는 방역의 고삐를 늦추지 않는 모습이다. 아직 안심하기엔 이르다는 판단에서다. 오히려 정부 방침보다 강력한 방역정책을 시행해 코로나19 위험요소를 제거해나갈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5일 대시민 담화문을 통해 “지금 대구는 다른 지역과 달리 안심하고 생활방역으로 전환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일상으로의 성급한 복귀보다 더 철저한 방역에 무게 중심을 둘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주간 발생한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 8명 중 4명이 대구, 1명이 경북에서 나왔다고 밝혔다. 대구·경북의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적극적인 검사를 통해 환자를 조기에 발견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대구시가 안심할 수 없는 이유다.
대구시는 마스크 쓰기 정착을 위해 행정명령 등 강력한 수단을 사용키로 했다. 모든 시민들에게 마스크 쓰기 생활화를 강력히 권고하는 동시에 대중교통, 공공시설 이용 시 마스크 쓰기 의무화를 행정명령으로 발동할 계획이다. 마스크 쓰기 관련 행정명령은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대구시가 처음이다.
정부보다 강한 생활수칙도 적용한다. 정부의 개인방역 5대 기본수칙을 대구는 7대 기본수칙으로 확장했다. 특히 정부의 ‘의심 증상이 있을 시 집에서 휴식’ 수칙을 대구시는 ‘증상이 있으면 빨리 검사 받기’로 강화해 적용했다. 현장별 세부지침도 정부(31개) 보다 2배 이상 많은 68개를 만들었다.
이밖에도 폐쇄된 실내에서의 모임·집회·회식 계속 자제, 대구시가 운영하는 실내 공공시설 휴관 19일까지 2주 더 연장, 실외 체육시설 휴장 기간 한 주 더 연장, 생활복지시설 개방 2주간 더 보류 후 상황 주시, 프로야구·축구 최소 2주간 무관중 경기 진행 후 단계적으로 완화, 고위험시설 신규 환자와 종사자 입원 전에 반드시 진단검사, 학교 대면수업 대구상황에 맞게 대구교육청과 협의 등을 시행하기로 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