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끝났지만 ‘꼼수 위성정당’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미래통합당과 그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이 약속과 달리 합당 문제에 꾸물거리고 있어서다. 한국당 원유철 대표는 4일 합당 문제에 대해 ‘통합당의 지도체제가 정비되면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또 보수 진영 무소속 당선인들의 한국당 입당에 대해선 ‘아직 그쪽 생각을 못 들어봤다’고 했다.
통합당은 8일에 새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이후 지도체제가 정비되기까지 꽤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이 때문에 원 대표의 발언은 사실상 오는 30일 21대 국회의원 임기개시 전까지 합당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들린다. 무소속 입당에 선을 긋지 않은 것 역시 현재 19석인 한국당이 1명 이상을 영입해 원내 교섭단체가 되기 위한 수순일 수 있다는 시각이 많다.
하지만 통합당 당규에 따르면 합당 문제는 지도부 정비와 상관없이 가능하다. 당규 13조는 합당 의결은 전당대회에서 결정할 사안이지만, 전대 소집이 곤란하면 전국위원회가 대행할 수 있다고 돼 있다. 통합당은 이미 지난주에 전국위를 열어 ‘김종인 비대위’ 출범을 가결한 바 있다. 의지만 있다면 지도부 정비 전이라도 합당할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합당 문제는 양당이 총선 보름 전 공동개최한 행사에서 ‘총선 직후 합당하겠다’고 공약한 사안이라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런데도 합당에 소극적인 게 야권에서 2개의 교섭단체가 나올 경우 여당 견제에 유리하고 정당보조금이나 상임위원장 자리 배분 등에 있어 유리하기 때문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더라도 선거 보름 전의 대국민 약속을 이제 와 뒤집을 경우 꼼수 위성정당에 이은 ‘대국민 사기극 2탄’이라고밖에 할 수 없을 것이다. 이는 정치적 도의도 아니거니와 새로운 보수로 거듭나겠다고 한 반성문과도 배치된다. 양당이 진정 거듭나고 싶다면 반드시 이달 중에 합당해야 할 것이다.
[사설] 통합당·한국당, 합당 미적대는 게 새로운 보수인가
입력 2020-05-05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