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생활 속 거리두기 전환 배경에는 이미 느슨해진 사회적 거리두기를 연장하긴 어렵고, 사회·경제 기능 회복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판단이 깔려 있다. 하지만 생활 속 방역지침은 아직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3일 브리핑에서 “국민의 피로감이 커지고 있고 경제적인 어려움이 우리 사회를 힘들게 하고 있다“며 방역 체계 전환 이유를 밝혔다.
다만 정부는 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방역지침 중 현실적으로 실천이 어려운 부분은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봤다. 정부가 지난달 22~24일 집단방역 수칙을 공개한 후 국민의견을 수렴한 결과 ‘아프거나 의심 증상이 있을 시 3~4일 쉰다’는 지침은 사회·구조적으로 실천이 어렵다는 응답이 54.3%(4766명)에 달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도 “실내에서 2m 거리두기도 생각만큼 쉽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식당이나 카페 같은 소규모 사업장, 또 굉장히 밀폐된 실내공간에서 적어도 1m 거리두기를 어떤 방법으로 실천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많다”고 언급했다. 실제 중대본은 출퇴근 시간 대중교통에서 1m 거리두기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해 ‘마스크를 착용하고 최대한 거리두기를 유지한다’로 변경했다.
전문가들은 아플 때 3~4일 쉬라는 지침이 전면 수정돼야 한다고 봤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집에서 쉬는 기간 가족 간 감염 위험이 있게 되고 만성질환자나 고위험군은 쉬는 사이에 빠르게 증상이 나빠질 수도 있어 가급적 빨리 병원을 찾거나 1339 상담을 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종료됐지만 아직 해외유입, 지역사회 감염 등 위험요소는 여전하다. 방대본은 3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일 대비 13명 늘어 총 확진자 수가 1만79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중 10명은 해외유입, 3명은 대구의 지역사회 감염이었다.
천병철 고려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가을 재유행에 대비해 개개인이 방역을 잘 지키고, 방역 당국은 국민 면역도를 알 수 있는 혈청 검사를 토대로 적절한 감시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