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에서 활동할 국회의원 초선 당선인들이 임기 시작 전부터 각자 목소리를 내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그동안 재선, 중진 의원들에 비해 비교적 개인 주장을 자제해 왔던 과거 초선 당선인들과 상반되는 행보다. 여당 초선 당선인들로선 여당의 압도적 승리에 따른 자신감이, 야당 당선인들은 총선 참패 이후 지지부지한 당 행보에 “나라도 나서야 한다”는 절박함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1대 국회의 초선 비율은 51%에 달한다. 수가 많은 만큼 ‘슈퍼 초선’으로도 불린다. 더불어민주당은 더불어시민당을 포함해 180명 가운데 88명(49%), 미래통합당은 미래한국당을 포함해 103명 중 59명(57%)이 초선에 해당한다.
당이 처한 상황에 따라 초선들의 목소리는 선명히 대비된다. 민주당 초선 당선인들은 이천 물류창고 화재, 긴급재난지원금, 검찰 개혁 등 중요 현안에 메시지를 쏟아내는 중이다.
대전지방경찰청장을 지낸 민주당 황운하(대전 중구) 당선인은 검찰 개혁을 주장하며 연일 검찰과 날을 세우고 있다. 황 당선인은 3일 페이스북을 통해 “검찰 개혁을 주장한 지 20년이 넘었다”며 “검찰은 여당편도 야당편도 아니다. 오로지 검찰편일 뿐”이라고 밝혔다.
소방관 출신의 민주당 오영환(경기 의정부갑) 당선인은 이천 화재를 언급하며 안전 의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오 당선인은 지난 1일 “안전보다 비용 절감이란 경제 논리가 우선된 게 반복된 참사의 근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초선 당선인들은 긴급재난지원금에 대해서도 적극 목소리를 내고 있다. 초선 당선인들은 한 연구 모임에서 기획재정부를 향해 “지역에서 보면 긴급재난지원금 타이밍이 너무 늦다”며 쓴소리를 했다.
반면 통합당 초선 당선인들은 당 개혁 등에 주력하고 있다. 박수영(부산 남갑) 당선인은 “원내대표를 뽑는데, 누가 되느냐보다 어떤 과정으로 뽑느냐가 더 중요하다”며 “끝장토론도 요구하겠다”고 주장했다. 통합당 부산지역 초선 당선인 9명은 최근 공동입장문을 통해 “원내대표 선거를 최대한 앞당겨 리더십 공백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당선인 워크숍과 원내대표 조기 선거를 주장하기도 했다.
검찰 출신 김웅(서울 송파갑) 당선인은 “어느 집단이 어려움에 처할 때 가장 나쁜 해법은 자기정화”라며 “순수성과 원래 가치를 수호하겠다는 명목으로 구성원들의 과거를 캐내 조리돌림하는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숫자상으로 다수인 사람들이 이런 정서가 있어 걱정됐기에 올린 글”이라고 설명했다.
황보승희(부산 중·영도) 당선인은 선거에서 빅데이터 시스템 도입을 주장했다. 그는 “(선거에서)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저희가 전략을 세운 게 없었다”고 지적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민주당의 경우 180석이라는 압도적 지지로 초선들이 자긍심으로 현안에 대한 목소리를 내는 차원이라면 통합당은 당 중심축이 없는 상황에서 이대로 가면 힘들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목소리를 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재현 김이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