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재배치 명분… 中, 위구르족 강제 이주 추진

입력 2020-05-04 04:06
2018년 중국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 내 ‘재교육 수용소’. AP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인권탄압 논란이 계속되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재교육 수용소’에 있는 이슬람 소수민족을 전국 각지로 분산해 내보내는 ‘일자리 재배치 프로그램’을 재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교육 수용소는 위구르족 등 이슬람 소수민족의 민족적·문화적 정체성을 말살시키기 위해 운영되는 시설이란 지적을 받아 왔다. 일자리 재배치도 현지 이슬람 사회 개조를 위한 ‘강제 이주’라는 비판이 나온다.

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신장위구르 지역의 재교육 수용소에서 교육을 마친 소수민족 사람들을 고용하도록 최소 19개 성과 시에 의무 할당량을 부여했다. 일자리 재배치 계획은 지난해 마련됐지만 코로나19 사태가 불거지면서 올 초 일시 중단됐었다고 SCMP는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 당국은 코로나19 여파로 경제활동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신장 지역 재교육 수용소 정책의 성공을 증명하기 위해 이 계획을 밀고 나가야 한다”며 일자리 재배치 프로그램을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광둥성 선전은 지난해 5만명의 위구르족 소수민족 채용을 목표로 삼았으며, 1단계로 1만5000~2만명을 받아들일 계획이다. 푸젠성 관계자는 “수천 명의 신장 노동자들을 고용하라는 요청을 받았고 곧 첫 번째 인력이 도착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후이신문은 지난 3월 “1560명의 신장 지역 노동자들을 받아들였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신장위구르자치구 관리들은 재교육 수용소와 일자리 재배치 계획이 위구르족 회교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신장 지역의 빈곤을 완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호주 전략정책연구소는 이달 초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정부가 2017~2019년 ‘강제노동이 의심되는 조건’ 하에 위구르족 노동자를 전출시켰으며, 때로는 재교육 수용소에서 직접 데려가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사실상 ‘강제 이주’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보내진다는 것이다. 또 “(일자리 재배치 프로그램은) 소수민족을 겨냥한 새로운 형태의 사회개조운동으로 진행된다”며 “노동자들은 격리된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근로시간 외에 중국어 수업과 이념 교육을 받으며, 지속적인 감시를 받는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