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악구에서 의류매장을 운영하는 정모(59)씨는 30일 “요즘 관악사랑상품권(지역화폐)은 ‘VIP카드’로 모시고 있다”며 “지역화폐를 사용하는 손님이 부쩍 늘어난 지 열흘 정도 됐다”고 말했다. 정씨 매장은 올해 초 코로나19 여파로 전년 동기에 비해 매출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2주 전부터 서서히 회복되고 있는데 전체 매출의 20% 정도가 지역화폐 결제 손님이라고 한다.
최근 지방자치단체가 시민들에게 재난지원금을 지원하고, 지역 소상공인을 살리자는 취지로 지역화폐를 유통하면서 지역 소상공인들의 숨통이 트이기 시작하는 모습이다. 코로나19 확산이 진정 국면에 접어든 덕도 있지만 소상공인 가게에서만 쓸 수 있는 지역화폐가 활발하게 유통된 효과도 분명히 존재한다.
특히 재난지원금으로 지역화폐가 발행되면서 지역화폐 소비가 눈에 띄게 늘어나는 추세다. 관악구에서 정육점을 운영하는 A씨는 “최근에 확실히 사용자가 늘었다”며 “3주 전부터 매출도 크게 늘어 체감상 50~60%는 증가한 것 같고, 전체 매출의 40% 정도는 지역화폐로 결제됐다”고 말했다. 인근에서 의류매장을 하는 B씨도 “‘지역화폐를 사용할 수 있느냐’는 문의전화를 많이 받고 있고, 실제로 지역화폐로 인한 매출이 하루 평균 10만원은 되는 것 같다”고 전했다.
시민들도 적극적으로 지역화폐를 소비하는 분위기다. 박모(30)씨는 “이번에 처음으로 지역화폐를 써봤는데 애플리케이션으로 결제하는 방법이 생각보다 간편하고 할인 효과도 커 자주 쓰게 된다”고 말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도 “지역화폐로 생필품을 샀다” “부모님께 옷을 사드려 오랜만에 효도했다” 등의 반응이 자주 올라오고 있다.
매출 증가 효과는 통계로도 드러난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월 3일부터 지난 27일까지 소상공인 사업장과 전통시장 등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확산 이전 대비 매출액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전통시장은 3월 23일, 소상공인은 지난 6일 최저점을 찍고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