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국제자유도시 ‘3차 계획’ 착수… 보존·개발 조화 초점

입력 2020-04-30 04:04
제주도는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은 제주시내 전경. 제주도 제공

2022년부터 10년간 제주의 근간이 될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이 수립된다. 보전과 개발, 관광에 치우친 산업구조 취약성을 방치한 기존 종합계획의 한계를 어떤 방식으로 보완할지 주목된다. 특히 감염병 등으로 인한 ‘이동 제한’이 지역 경제에 직격탄이 된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자유로운 이동을 근간으로 설정된 제주국제자유도시 기치의 한계점이 보완될지도 관심사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고 29일 밝혔다.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은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근거한 제주도의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정부와 제주도는 제주도를 국제적인 관광·휴양·첨단지식산업도시 등 복합 기능을 갖춘 국제자유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해 2002년 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을 제주국제자유도시 특별법으로 변경했다. 제주에서는 이에 근거해 10년마다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제주도는 29일 국토연구원과 제3차 종합계획(2022∼2031) 수립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학술용역은 국토연구원 컨소시엄과 제주연구원이 오는 5월부터 13개월간 협업연구를 통해 결론을 도출한다. 용역에는 약 12억8000만원이 투입된다.

지난 20년간 수많은 논란을 낳았던 보전과 개발 가치 사이에서 제주도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고민하고 새로운 모델을 정립한다. 관광산업에 치우친 취약한 제주산업 구조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함께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기후변화의 가속화, 인구 구조의 변화, 저출산·고령화 사회 진전 등 대내외적 메가 트렌드를 반영해 국제자유도시의 방향성을 재정립한다는 목표도 가지고 있다.

제주도는 외국 사례 분석 등을 통해 제3차 종합계획에 제시될 비전의 실현가능성과 실효성을 명확히 하고, 국제자유도시 추진 성과를 비교·평가할 수 있는 장기적인 평가체계도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