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벼를 사막에서 국내 기술로 재배하는 초유의 실험이 성공했다(국민일보 1월 2일자 1, 3면 보도). 다음 달 초 16가마니(80㎏) 정도의 햅쌀이 수확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같은 품종을 동일한 면적에 심었을 때보다 1.5배 정도 생산량이 많다.
농촌진흥청은 아랍에미리트(UAE) 샤르자 지방 알다이드에서 재배해 온 벼를 다음 달 5일 처음으로 수확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른바 ‘사막 벼농사 프로젝트’라 불리는 이 사업은 2018년 3월 한·UAE 정상회담 이후 실현됐다. 지난해 11월 25일 1890㎡ 부지에 파종한 한국산 ‘아세미’ 품종은 우여곡절을 거쳐 5개월여 만에 결실을 맺었다. 한국산 벼를 사막에서 재배해 수확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당초 예상보다 고무적인 결과가 나왔다. 1차 수확량 추정치는 1400㎏에 달한다. 벼 껍질을 벗겨내는 도정 과정을 거치면 1300㎏(16.3가마니) 정도의 햅쌀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 달 10일로 예정된 2차 생산을 고려하면 1000㎡당 793㎏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됐다. 모래 토양의 수소이온농도(pH)가 8.5로 적정 토양(5.8~6.0)보다 높아 성공 물량이 적을 거라는 예상을 기술로 떨쳐냈다. 농진청 관계자는 “한국에서 동일 면적에 아세미를 심었을 때보다 생산량이 47% 정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수확 성공에 힘입어 2차 실증 실험도 진행하기로 했다. 현행 방식보다 물 사용량을 70% 정도 줄이는 ‘고랑 재배’ 방식 등을 시도할 계획이다. 김경규 농진청장은 “어려운 여건에서 가능성을 확인했다. 앞으로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