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선거에 28일 출마한 전해철 의원(57)은 집권 여당에 180석을 준 4·15 총선 표심을 “문재인정부의 성공적인 국정 운영을 바라는 국민이 야당 탓 말고 제대로 한번 일해보라는 강한 요구”라고 풀이했다. 전 의원은 “우선 국회에 비상경제특위를 만들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사회의 구조개혁 부문까지 논의하고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3선 의원으로 참여정부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그는 친노, 친문의 핵심으로 꼽힌다. 그는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민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신뢰에 기반을 둔 당·정·청 소통을 자신의 가장 큰 장점으로 내세웠다. 노무현 대통령 시절부터 이어진 오랜 인연과 함께한 시간을 통해 쌓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누구보다 정확하게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일하는 국회를 만들고, 코로나19 극복에 앞장서겠다는 뜻을 누차 강조했다.
-총선 민심을 어떻게 해석하나.
“코로나19 극복 노력에 대한 긍정 평가에 앞으로 더 잘하라는 의미라 생각한다. 일하는 국회를 만들되, 여당이 일방적으로 하지 말고 끊임없는 대화와 타협을 통해 협치하면서 일 해보라는 뜻일 것이다.”
-21대 국회의 우선 과제는.
“의료, 방역을 통한 코로나19 극복, 앞으로 닥쳐올 경제 위기 대응이 급선무다. 여야가 함께하는 비상경제특위를 설치해 종합적인 입법권 등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행정부와 달리 입법부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인가.
“과거 외환위기 이후 행정 집행에 대한 사법적 처리가 있던 사례 등으로 인해 행정부가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데 주저하거나 청와대에 의존하는 경향이 생겼다. 여야가 갈등 현안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해 입법이나 방향을 제시해서 행정부의 적극적인 집행을 끌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코로나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할 정도로 코로나 이후 경제 패러다임과 사회 구조 개혁 등도 필요하다.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입법이면 입법, 재정지원이면 재정지원, 큰 틀의 구조개혁까지 논의해야 한다.”
-원내대표 후보로서 가장 큰 강점은.
“신뢰에 기반을 둔 당정청 소통이다. 서로 생각하는 게 정확히 무엇인지, 그걸 해결하기 위해 국회와 청와대, 정부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할지 그간 형성해온 네트워크를 이용해 풀어내겠다. 신뢰는 하루아침에 주어지지 않고, 역사와 오랜 과정이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실질적인 당정청 관계를 잘 이끌어갈 수 있다.”
-누구보다 여야 협치를 강조해왔다. 협치를 위한 복안은.
“국회는 사회 갈등 해소를 위한 대의기관인데, 오히려 진영 대결이 격화된다. 국회 제도와 틀을 바꿔 일하는 국회를 만들겠다. 대표적으로 각 정당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느라 법안 상정을 막고 있는 법제사법위원회의 체계자구심사권 폐지하겠다. 장기적으로 진영 갈등 문제 해결을 위한 정치 의제도 다루고 싶다.”
-비선실세라는 이미지, 양정철 민주연구원장, 이호철 전 민정수석과 함께 ‘3철’로 불리는 점은 약점일 수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을 보좌하고 함께 일했던 것은 영광스러운 일이지만, 각자 자리와 역할도 다 다른데 이름에 ‘철’자 돌림이 있는 걸 묶어서 3철 프레임을 씌운 것은 과도하다. 야당이 만들어낸 3철 프레임과 비선 실세라는 오해 때문에 오히려 당 안팎에서 견제를 많이 당했다. 국회 정무위, 법사위, 예결위 등 주요 상임위 간사 등 국회직을 맡아 일했지만 당직은 2016년 권역별 시·도당위원장이 선출한 최고위원만 했다.”
-이번 선거에서 전해철을 뽑아야 하는 이유는.
“당에 친문, 비문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참여정부의 국정철학을 구현하고 싶어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기에 친노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고 그렇게 불리는 건 너무나 당연하다. 그걸 패권이나 계파로 몰아서 측근이라고 배제하거나 비선이라며 과도한 프레임을 씌우는 것은 옳지 않다. 코로나19로 닥쳐올 위기를 가늠할 수 없는 비상 시기에, 과연 누가 (180석 여당의) 원내대표로 적합한가, 당정청 관계에 있어 그동안 살아온 시간과 과정으로 전해철이 쌓아온 신뢰관계가 낫지 않겠냐. 또 일하는 국회 관련해서도 상임위 실질화 등 국회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하며 제도 하나 더 만들기 위해 노력해온 사람이 누구인지 동료 의원들이 판단해줄 것이라 생각한다.”
김나래 신재희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