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그룹이 산업용 가스 전문 세계적 화학기업인 린데그룹과 세계 최대 액화수소 공장 건립에 나선다. 공장이 완공되면 매해 1만3000t의 액화수소를 생산하게 되는데 이는 승용차 10만대를 충전할 수 있는 물량이다.
효성그룹은 28일 조현준 회장과 성백석 린데코리아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마포구 본사에서 액화수소 사업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2022년까지 액화수소 생산, 운송 및 충전시설 설치와 운영에 30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단일설비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은 울산 효성화학 용연공장 내 부지에 신설된다. 양사는 연내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내년 1분기 공장 착공에 들어가 2022년 완공을 목표로 세웠다. 효성화학 용연공장에서 생산되는 부생 수소에 린데의 수소 액화기술과 설비를 적용해 액화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린데는 세계 최고 수준의 액화수소 생산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공장 완공 시점에 맞춘 충전 인프라 구축도 논의 중이다. 70곳의 충전설비를 확충하고 50곳을 신설해 전국 주요 거점지역에 120개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효성중공업은 2008년 수소충전소 보급 사업을 시작해 전국 15곳에 충전소를 건립하는 등 국내 수소충전소 시장의 40%를 점유하고 있다.
조 회장은 “효성이 추진하는 액화수소 사업의 핵심은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수소를 저장하고 운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이번 투자가 향후 국내 수소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1월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2040년까지 수소충전소 1200개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수소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경제 성장을 이끌겠다는 것이다.
국내 시장은 그간 기체수소를 사용해 저장·운송 비용이 많이 들어 사업성이 낮다는 지적을 받았다. 기체수소의 800분의 1 부피인 액체수소가 사용되면 이 같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충전시간 또한 기존 기체수소의 4분의 1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