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 사건으로 전격 사퇴한 오거돈 전 부산시장이 업무 인수인계도 하지 않은 채 자신의 정무라인 15명과 함께 잠적해 부산시정이 대혼란에 빠졌다.
지난 23일 3분40초짜리 사퇴문 하나를 내놓은 뒤 오 전 시장은 물론 자신이 임명한 정무라인 인사들조차 행방이 오리무중이다. 특히 이들 정무직 공무원 15명은 굵직굵직한 부산시의 각종 사업과 행정에 개입해 정보독점과 밀실행정을 일삼아 왔던 터라 오 전 시장의 치졸한 행태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게 번지는 상황이다.
27일 부산시 관계자 등에 따르면 오 전 시장은 사퇴 성명을 발표하고 시청을 떠난 뒤 행적을 전혀 파악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오 전 시장 사퇴로 15명의 정무라인 가운데 13명은 자동면직되고, 임기가 보장된 2명은 사직서도 내지 않은 채 함께 잠적했다. 오 전 시장이 현직에 있을 때부터 행정직 공무원들 사이에선 2018년 7월 취임 후 1년10개월간 부산시 조직을 망쳤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기존 행정직 공무원들을 제쳐놓고 선거캠프에서 함께했던 박태수 전 정책수석보좌관 등을 불러들여 주요 시정을 다 맡겼다는 것이다. 이후 공무원 조직과 충돌하면서 박 전 수석은 물러났지만 장형철 정책수석보좌관과 신진구 대외협력보좌관이 바통을 이어받았다.
정무라인은 막강한 권한으로 주요 정책을 좌지우지했다. 김해신공항 검증 총리실 이관, 부산구치소 이전, 원전해체연구소 공동 유치 등 현안 해결에도 막후에서 주도했다. 전임 시장의 역점 사업을 전면 중단시키며 잡음도 야기했다. 가덕도 신공항 건설은 오 전 시장의 정무라인 간섭으로 무산된 것이란 말도 나온다. 버스중앙차로제(BRT), 북항재개발지역 내 오페라하우스 건립 사업 등도 취소했다가 다시 시행해 기간만 지연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 전 시장이 민선 7기 출범과 함께 임명한 유재수 전 경제부시장이 뇌물 비리 혐의로 구속되기도 했다. 또 조국 사태 관련 딸 특혜 장학금 연루 의혹을 받는 노환중 전 양산부산대병원장을 부산의료원장에 임명해 부산시청은 네 차례나 압수수색을 당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오 전 시장은 정무라인과 함께 개방형 공무원 자리에 자신의 측근을 대거 포진시킨 뒤 시정을 좌지우지하면서 기존 행정직 공무원들의 불만이 많았다. 사퇴 후처리도 깔끔하지 못했다는 평가다. 오 전 시장은 물론 정무라인도 잠적해 버려 시정 공백과 혼란을 부추겼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보와 권한을 독점하다가 중요하고 민감한 업무를 아무런 인수인계 없이 손을 떼면서 추진 과정을 모르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