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김정은과의 신뢰 바탕으로 평화경제 미래 열겠다”

입력 2020-04-28 04:04
동해선 최북단 역인 강원도 고성군 제진역 철로에 27일 녹이 잔뜩 슬어 있다. 2007년 제진역~금강산역 구간 시범운행이 이뤄졌지만 이듬해 금강산 관광이 중단되면서 제진역은 현재까지 방치돼 있다. 4·27 판문점선언 2주년을 맞은 이날 이곳에서 남강릉역에서 제진역을 잇는 동해북부선 110.9㎞ 구간 추진 기념식이 열렸다. 정부는 내년 말 착공할 계획이다. 고성=사진공동취재단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코로나19 위기가 남북 협력의 새로운 기회일 수 있다. 지금으로선 가장 시급하고 절실한 협력 과제”라고 말했다. 코로나19 대응을 시작으로 이산가족 상봉 등 남북 협력을 확대하겠다는 제안이다. 문 대통령은 특히 “나와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이의 신뢰와 평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바탕으로 평화 경제의 미래를 열어나가겠다”고 했다. 미래를 언급한 것은 ‘김정은 건강이상설’에 선을 그은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4·27 판문점선언 2주년을 맞은 이날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코로나19에 공동 대처하는 협력에서 시작해 가축 전염병과 접경지역 재해·재난, 기후환경 변화 공동 대응 등 생명의 한반도를 위한 남북 교류와 협력이 적극 이뤄지길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남과 북은 하나의 생명공동체다. 남북 생명공동체는 평화공동체로 나아가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김 위원장과의 신뢰를 강조하며 “한반도 운명의 주인은 우리 자신이라는 사실을 우리가 잊지 않는다면 길은 열리게 마련이며 좁은 길도 점차 넓은 길로 만들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또 “판문점선언은 되돌릴 수 없는 평화의 문을 열었지만 그로부터 지난 2년은 평화는 하루아침에 오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절감하게 한 기간이었다”며 “기대와 실망이 반복됐고, 그때마다 인내하며 더딘 발걸음일지언정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온 기간”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판문점선언 실천에 속도를 내지 못한 것은 결코 우리의 의지 부족 때문이 아니다.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국제적인 제약을 넘어서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우리는 현실적인 제약 요인 속에서도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 작은 일이라도 끊임없이 실천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남북 공동 유해발굴 사업, 이산가족 상봉, 실향민들의 상호 방문 등도 코로나19가 안정되는 대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열린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과 관련해 “남북 간 철도 연결을 위해서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부터 해 나가겠다”며 “남북 정상 간에 합의한 동해선과 경의선 연결의 꿈을 함께 실현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했다.

정부는 이날 강원도 고성군 제진역에서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을 열고 1967년 노선이 폐지된 이후 단절된 상태로 있던 동해북부선(남강릉역~강릉역~제진역·110.9㎞)을 복원키로 했다. 총 사업비는 2조8520억원으로 추산된다.

기념식에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김연철 통일부 장관, 최문순 강원도지사 등이 참석했다. 김현미 장관은 “올해 말까지 동해북부선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설계까지 완료한 뒤 내년 말에 착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제진역 역사는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문의 후속 조치로 2006년 완공됐다. 이듬해 두 차례 남북 열차 시험운행이 이뤄졌지만 이후 남북 관계가 경색되면서 현재까지 열차 운행 없이 방치돼 있다.

임성수 기자, 서울·제진역=공동취재단 전성필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