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빅데이터 접목” 디지털정부로

입력 2020-04-28 04:07

정부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행정에 접목해 디지털정부로 대전환을 꾀한다.

행정안전부는 28일 기존의 공급자·시스템 위주의 전자정부국을 수요자·서비스 중심의 디지털정부국으로 개편한다고 27일 밝혔다.

먼저 정보기반보호정책관을 공공데이터정책관으로 전환하고 그 아래에 데이터 관련 기능 3개과와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기능 2개과를 배치한다. 아울러 공공데이터 관련 기능을 집중·통합해 데이터 생성, 유통, 개방 및 활용에 이르는 데이터의 전 주기를 관리하고 마이데이터 사업, 모바일 신분증, 디지털 고지·수납 등 데이터 관련 주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담조직을 신설한다. 특히 공공지능정책과는 대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추천·안내하는 ‘국민비서’ ‘민원365’ 등 사업을 추진하고, 지능행정기반과는 칸막이 없는 협업행정과 현장 중심 원격근무 지원 등 스마트 행정환경 구축에 힘을 쏟는다.

마지막으로 정보화사업성과관리과와 정보자원정책과를 ‘디지털정부기반과’로 통합해 빅데이터, 5G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정보통신망 고도화사업을 추진한다. 더불어 디지털서비스 이용·확산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보안체계를 강화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높인다. 이인재 행안부 기획조정실장은 “기존 전자정부가 인프라 구축 등 공급자 중심이었다면 디지털정부는 대국민 서비스 향상을 지향하는 수요자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