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앙~ 괴물 바이러스! 코로나 공포에 집콕하는 아이들

입력 2020-04-27 05:01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25일(현지시간) 한 아이와 엄마가 산책로를 걷고 있다. EPA연합뉴스

“엄마, 코로나바이러스가 너무 무서워요. 집 밖으로 나가고 싶지 않아요.”

여덟 살 마누엘은 42일 만에 밖에 나가 놀 수 있게 됐는데도 기뻐하지 않았다. 지난달 14일부터 이동제한령을 시행한 스페인은 26일부터 14세 이하 어린이들이 오전 9시~오후 9시 사이 하루 최대 1시간 동안 어른과 함께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하지만 마누엘은 바깥이 무섭다며 외출을 거부하고 있다. 엄마 힐마라는 “나가자고 강요하고 싶지는 않다”며 “일시적 현상이길 바랄 뿐”이라고 걱정했다.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실시했던 이동제한 조치를 완화하면서 어른들은 일상으로 돌아갈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들의 팬데믹 스트레스와 후유증은 성인보다 심각하고 오래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스페인 일간 엘파이스는 마누엘과 같은 이유로 상담을 요청하는 사례가 최근 여러 지역의 소아과나 심리상담소에 쇄도하고 있다고 25일(현지시간) 전했다.

남편과 이혼하고 8살과 5살 두 아이를 키우는 베아는 “아이들을 아빠와 만나게 해주기 위해 가끔 외출을 하는데 아이들이 점점 더 밖에 나가는 것을 무서워한다”며 “마스크를 쓴 사람들이 텅 빈 거리를 다니는 풍경을 이상하게 쳐다보고, 꽃이나 풀은 만져도 되는지 끊임없이 물어본다. 모든 것을 의심한다”고 말했다.

마드리드의 소아과 의사 알리시아 아레발로는 “최근 찾아온 4세 어린이는 커다란 벌레 형상을 한 바이러스가 길에 가득차 경찰과 싸우는 모습이 자꾸 생각난다며 겁에 질려 잠을 못 자는 증상을 보였다”면서 “마찬가지로 외출을 거부했다”고 얘기했다.

전문가들은 외출 등 일상적인 행동에 대한 아이들의 두려움이 공포증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하려면 위험의 실체에 대해 대화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심리상담가 디에고 피게라는 “아이들이 무서워하는 건 당연하다”면서 “자녀들에게 코로나19를 마치 집 밖에 있는 괴물처럼 설명해놓고 정작 부모들이 ‘밖에 나갈 수 있게 됐다’며 기뻐하는 건 아이들 눈엔 이상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심리학자 엘레나 도밍게스는 “부모들이 코로나19를 설명할 때 장소나 사람 등과 연관짓지 말고, 어떻게 스스로를 보호해야 하는지 이성적인 방식으로 명확하게 알려주는 게 좋다”고 말했다.

스페인 북부 팜플로나의 정신과 의사 아수세나 디에스는 “팬데믹과 관련한 아동 심리상담 신청이 향후 수개월간 많이 늘어날 것”이라면서 “특정 스트레스 요소로 인해 불안해하는 아이들은 일반적으로 집착이나 강박 증세를 동반한다”고 우려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