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생활방역 실천으로 장기전 대비하자

입력 2020-04-25 04:02
방역당국이 24일 생활방역 세부지침 초안을 정부 부처 홈페이지 등에 공개했다. 업무, 일상, 여가 등 3개 분야로 나눠 31개 장소에서 준수해야 할 행동지침을 제시한 것이다. 정부는 생활방역 체제로의 전환을 염두에 두고 아프면 3~4일 집에 머물기 등 개인방역 5대 핵심수칙과 4개 보조수칙, 집단방역 5대 핵심수칙을 확정해 지난 22일 공개한 바 있다. 이번에 발표한 초안은 앞서 발표한 수칙을 상황·장소별로 구체화한 맞춤형 행동지침이다. 최소 인원으로 쇼핑하고 화장품 견본품 사용 자제(대형 유통시설), 합창·구호·신체접촉·단체식사 자제하고 입·퇴장 시간 분산(종교시설), 식사보다는 답례품 제공(결혼식 등), 30분 이상 머물지 않도록 권장하고 고위험군은 직접 조문 자제(장례식장) 등이다. 발열 호흡기 증상이 있거나 14일 이내 해외여행 한 경우 방문하지 않기, 마스크 착용, 2m(최소 1m) 이상 간격 유지 등은 공통으로 지켜야할 수칙이다. 정부는 초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생활방역위원회 논의를 거쳐 확정할 방침이다.

국내 코로나19 사태가 진정 국면을 보이고 있는 건 다행이다. 신규 확진자가 23일 6명이 발생해 이틀째 한자릿수, 일주일째 20명 이하를 기록했고 사망자도 39일 만에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 20일 민간 부문에 한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했다. 공공 부문은 다음 달 5일까지 연장했지만 조만간 생활방역 체제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방역 당국의 헌신과 시민들의 협조가 합쳐져 만들어낸 기분 좋은 흐름이다.

하지만 누차 강조했듯 결코 긴장을 풀어서는 안 된다. 30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이어지는 징검다리 연휴기간 제주도, 강원도 등 유명 관광지 객실 예약이 거의 완료되는 등 경계심이 이완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는데 방심했다가는 사태가 다시 악화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진정되더라도 올 가을에 2차 유행할 가능성이 있고, 길게는 2년 정도까지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일상적인 사회경제활동을 재개하더라도 방역의 고삐를 늦추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정부가 발표한 수칙과 세부지침은 생활방역의 길잡이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정부는 시민들에게 이를 널리 알리고 실천을 독려해야 한다. 일상적인 사회경제활동은 성공적인 방역이 뒷받침돼야 지속될 수 있다. 시민들도 나와 가족, 내 직장과 이웃을 위해 생활방역 수칙과 지침에 관심을 갖고 적극 실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