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코로나19 ‘실업 쓰나미’가 멈출 기세를 보이지 않아 제2의 대공황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공장 가동 중단 조치와 기업의 대규모 일시 해고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미 노동부는 23일(현지시간) 지난주(4월 12~18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443만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가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일자리가 줄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달 들어 매주 청구 건수는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실업자는 여전히 늘고 있다는 의미다.
미국의 고용시장은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으면서 최장기(113개월 연속) 호황도 마침표를 찍었다.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지난 2월까지 최근 1년간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월평균 21만6000건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지난달 셋째주 330만건으로 늘었다. 그 다음주엔 687만건까지 치솟았다가 이후 661만건(3월 29일~4월 4일), 524만건(4월 5~11일) 등으로 조금씩 줄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최근 5주간 실직자는 2650만명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 “이 정도 규모의 실업자 수는 대공황 이후 처음”이라고 전했다. 이어 “2008년 경제위기 이후 만들어진 일자리가 모두 사라졌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5주 연속 수백만건을 기록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미 노동부가 이를 집계하기 시작한 1967년 이후 최고치 수준이다. 코로나19 사태 전까지 최고 기록은 2차 오일쇼크 당시인 82년 10월의 69만5000건이었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에는 65만건까지 늘어난 바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미국의 실업률이 15%에서 20% 사이에 있다고 보고 있다. 2008~2009년 금융위기 당시 실업률보다 높은 수준이다. 대공황 당시 실업률이 정점을 찍었을 때는 25% 안팎이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의 4월 실업률이 20%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채용사이트 집리크루터의 노동전문가 줄리아 폴락은 “조금씩 시차를 두고 있긴 하지만 미국 전 지역의 모든 주요 산업이 쇠퇴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