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때문에 이달 말 열리는 제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 17차 회의가 화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5월 말 개최가 유력시되는 중국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인대와 인민정치협상회의)도 화상으로 열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23일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웨중밍 전인대 상무위 법제위원회 대변인은 지난 2월 상무위 16차 회의가 베이징과 베이징 밖에 있는 위원들을 화상으로 연결해 진행됐다고 전날 전인대 위챗 계정에서 밝혔다. 전인대 상무위 회의가 화상으로 열린 것은 사상 처음이다.
웨 대변인은 “특수 상황에서 진행된 획기적인 방식이며 전인대의 효율적인 운영을 보장하면서도 코로나19 방역 요구를 이행했다”면서 “이는 헌법과 법률의 원칙과 정신에도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오는 26∼27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전인대 상무위 17차 회의에 대해 “지속적인 코로나19 예방작업을 실행하고 전인대의 효율적인 운영을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글로벌타임스는 “전인대 상무위 17차 회의가 비슷한 방식으로 열릴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의 현 기술은 원만한 회의 진행과 보안을 보장한다”고 분석했다. 리샤오둥 전 중국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 대표는 “현 기술로 수천명이 참석하는 화상회의가 기능하며 암호화 조치로 해킹도 어렵다”고 말했다.
전인대 상무위 17차 회의에서는 양회 일정이 결정된다. 전인대와 정협은 애초 지난달 5일과 3일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연기됐다. 홍콩 명보는 중앙 지도부가 양회를 화상회의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도 배제하지 않고 있으며 화상회의를 위한 점검을 마쳤다고 지난주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양회 화상회의 개최설이 나도는 것은 중국 내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와 해외 유입 확진자가 계속 발생하는 데다 하얼빈 등 일부 지역에서 집단감염 사태가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양회를 사상 처음으로 연기한 중국 지도부가 힘겹게 다시 잡은 양회를 화상회의로 전환한다면 이미지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화상회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분석도 많다.
중화권 매체들은 절차를 제대로 따른다면 5월 하순 또는 6월 초 양회 개최가 유력하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지만 조금 더 앞당겨 5월 10일쯤 열릴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