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전권·무기한’ 달라는데… 통합당은 아직 갑론을박

입력 2020-04-23 04:02
미래통합당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발언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미래통합당이 총선 참패 후 당 수습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에 맡기기로 했다. 하지만 현역 의원과 당선인을 상대로 설문조사해 다수결로 정한 것이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비대위원장에게 전권을 줄지, 기한을 언제까지로 할지 등은 논의 테이블에 오르지도 못했다.

심재철 통합당 당대표 권한대행은 22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 후 “20대 의원과 21대 당선인 142명에 대해 전부 전화를 돌렸다. 연락되지 않는 두 분을 제외한 140명의 의견을 취합했다”며 “김종인 비대위가 다수로 나왔다. 다음 주 초쯤 실무 절차를 거칠 생각”이라고 밝혔다. 심 권한대행은 23일 김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만나기로 했다.

총괄선대위원장을 맡은 데 이어 통합당 구원투수로 나서게 될 김 전 위원장은 당이 제대로 된 대권 후보를 낼 때까지 자신에게 모든 권한을 일임할 것을 요구했다. 김 전 위원장은 CBS라디오에서 “대선을 제대로 치를 수 있는 준비까지는 해줘야 한다”며 내년 3~4월까지는 비대위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비대위원장이 되면 현행 당대표의 권한을 갖는 것이다. 조기 전당대회가 전제된다면 비대위원장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당내에선 비판의 목소리가 계속 쏟아져 나왔다. 정진석 의원은 “이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당선인대회 개최, 새 원내대표(당대표 권한대행) 선출”이라며 “심 권한대행의 결정은 그에게 위임된 권한을 넘어서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김영우 의원도 “아무리 급해도 모여서 토론도 제대로 해 보지 않고 전화 여론조사라니, 그것도 위원장 기한도 정해지지 않은 전권을 갖는 비대위라니 참으로 비민주적 발상이다. 창피한 노릇”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당의 앞날을 결정하는 방식이 당선인총회나 의원총회가 아닌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된 데 대한 불만도 속출했다. 애초 다수결로 정할 사안이 아니었다는 의견도 뒤늦게 나왔다. 장제원 의원은 “당의 앞날을 이런 식으로 취합하는 방법은 적절하지 않다”고 했고, 김정재 의원도 “김종인 비대위냐, 당대표 권한대행 체제냐 선택지가 두 가지밖에 없었다. 꼭 김종인 비대위원장을 내세울 필요 없이 내부 인사로 세워도 된다는 생각이라 선택지에 없는 답변을 했다”고 했다. 이준석 최고위원도 “애초에 이 문제가 투표로 결정될 사항이 아니다. 결과는 나왔지만 또 싸우자는 얘기가 나올 것 같다”고 우려했다.

찬성이 절반을 넘지 않았기 때문에 부결된 것이란 주장도 나왔다. 조경태 최고위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김종인 비대위를 택한 답변은 40%대 초반이고 당대표 권한대행 체제는 30%대 중반, 기타는 18% 정도였다. 과반이라는 (심 권한대행의) 말과 달라 사실상 부결”이라고 주장했다. 심 권한대행은 앞서 “한 표라도 많은 쪽으로 결정하겠다”고 했다.

심희정 김용현 김이현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