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압승에 ‘급급매물’까지 나왔다… 강남 부동산 촉각

입력 2020-04-21 04:07

규제 위주의 부동산정책을 추진해 온 여당이 총선에서 압승하자 서울 강남·재건축 급매물을 중심으로 매매가격 하락세가 시작됐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 급매물도 출현하고 있다.

하지만 강남권 중개업소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은 여전히 12·16 대책 발표 후 이어지던 관망세가 ‘급락장’으로 전환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20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현장에선 총선 실망감에 따른 급매물과 가격 하락의 흐름이 체감되지 않는 모양새다. 서울 강남구 은마아파트 일대의 한 공인중개업자는 “총선 전이든 후든 매물 자체가 없어진 지 오래돼 하락세가 시작됐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며 “매수 상담은 조금 늘었지만 결국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총선 이후 부동산정책 강화를 우려한 이른바 ‘실망 매물’이 2억~3억원씩 급락한 가격에 나오고 있지만 큰 의미가 없다고 본 것이다.

그는 또 “최근에 저층 중심으로 나온 매물 2, 3개가 전부인데 설령 싸게 거래된다고 해도 매물은 그것으로 끝인데 시세에 영향을 줄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강남·재건축 아파트 시장에서는 총선 이후 닷새간 ‘급급매물’이라는 설명이 달린 시세보다 싼 매물이 나왔지만 현장에선 이를 일부 매물이 시장을 교란한 ‘해프닝’으로 인식하는 분위기다. 인근 고가 신축 아파트를 주로 취급하는 또 다른 공인중개업자도 “총선 후 분위기를 말하기엔 매물 자체가 너무 없다”고 말했다.


매물 감소는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실제로 강남 고가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해 12월 이후 꾸준히 줄고 있다. 직방에 따르면 2019년과 12·16 대책 직후인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서울 아파트 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강남구가 61.8%에서 53.8%로 감소했고 서초구는 53.8%에서 37.5%, 송파구는 29.9%에서 24.1%로 줄었다. 현장에서는 총선 전후로도 거래가 줄면 줄었지 늘지는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오는 6월 양도세 중과를 앞두고 매물이 증가할 소지는 있다는 분석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양도세 중과 대비) 매물이 조금 더 나올 수는 있고 당분간 약세가 이어질 수 있다”면서도 “6월 이후에는 오히려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고 증여 등 대안을 찾는 경우도 있어 불안감으로 매물이 쏟아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급매물이 시장을 들썩이게 만들지만 현장에선 매물을 구경도 못하는 현상은 지난해 12월 부동산정책 발표 이후 여러 번 반복됐다. 6월 양도세 중과를 기점으로 매물이 쏟아져 폭락장이 올 것이라는 주장과 참고 기다리면 다시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믿는 쪽이 급매물과 신고가에 일희일비했다.

서울 송파구 대장주로 꼽히는 리센츠에서 6억원 떨어진 매물이 나오더니 한 달이 채 못돼 다시 신고가를 경신한 매물이 나와 이목을 끌었던 게 대표적인 사건이다.

총선 이후 급매물의 영향력도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양지영 R&C연구소장은 “보유세에 대한 부담도 있고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도 작용하다 보니 일부 매물이 시장으로 나오고 있다”면서도 “매물이 쌓일 경우 조정이 계속될 수는 있는데 일부 매물만 나오는 지금 같은 상황에서 하락세는 한정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