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가까이 이어지고 있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종료 시점(19일)을 앞두고 있으나 정부는 생활방역체계로의 전환에 주춤하는 분위기다. 집단·원인불명 감염이 여전해 방역체계 전환보다는 ‘완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번 주말 방역체계 전환 여부를 결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6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전일 대비 22명 늘어 총 1만61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나흘 연속 신규 확진자는 30명 이하였다. 하지만 국민적 불안감은 가시지 않았다.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지난 10~13일 실시한 4차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6명 이상(65.6%)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고 출근·등교 등 일상적 활동이 재개되면 자신과 가족의 감염 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도 난감한 입장이다. 교육이나 사회·경제적 활동에 제한이 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는 지속하기 어렵다고 보면서도 생활방역을 시작하기엔 위험이 크다는 판단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경북 예천에서 확진자들이 식당, PC방 등을 이용해 불과 1주일 사이에 30여명의 환자가 발생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를 소홀히 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경고했다. 예천군 집단감염은 감염 경로가 아직 오리무중이다. 자가격리 이탈자들로 인한 감염 위험도 여전하다. 석가탄신일(4월 30일)과 근로자의 날(5월 1일), 어린이날(5월 5일)로 이어지는 ‘황금연휴’도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요인이다.
의학·시민사회 등 각계 전문가들이 참석한 생활방역위원회 2차 회의에서도 비슷한 의견이 나왔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피로감을 느끼는 국민들이 생활방역체계 전환을 자칫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선 정부가 방역체계 전환보다 사회적 거리두기 수준을 한 단계 완화하는 방안을 선택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방역 강도를 낮춰 체육·유흥시설에 대한 강제적 집합제한 명령을 해제하거나 시설 특성별로 감염 위험이 낮은 곳부터 운영을 재개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은 방역 강도 조절에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탁 순천향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 수준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유지해야 한다고 본다”며 “생활방역은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사회적 거리두기로 접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
▶
최예슬 최지웅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