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지방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한다. 휴무 적용범위는 논란이지만 제주 4·3항쟁일과 유사한 방식이 유력하다.
광주시는 “40주년 기념일 이전에 5·18 지방 공휴일 조례안이 시의회에서 조속히 통과되도록 하는 방안을 의장단과 협의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이용섭 광주시장이 전날 간부회의에서 “5월 18일은 광주시민 모두가 민주화운동의 의미를 되새기고, 자녀들에게는 정의로운 광주의 역사를 알려주는 하루가 돼야 한다”며 지방 공휴일 지정을 주문한데 따른 것이다.
이 시장의 제안에 따라 시의회는 간담회를 열어 의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지방 공휴일 지정 절차를 밟을 방침이다. 시의원 대부분 지방 공휴일 지정 취지에는 공감하는 분위기여서 총선이 끝나면 조례 제정 등이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조례가 광주시의회를 통과하면 제주도가 지난 2018년 4·3항쟁 70주년을 맞아 4월 3일을 전국 최초의 ‘지자체 임시 공휴일’로 지정한 데 이은 두 번째 사례가 된다. 제주도와 산하기관 공무원은 4월 3일에 임시 공휴일을 적용받고 있다. 제주도내 민간기업과 각급 학교 등은 노사 간 협의와 교무회의 등을 거쳐 자율적으로 휴무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광주시도 이 같은 방식을 도입할 가능성이 크다.
5·18유족회와 부상자회, 구속부상자회 등 5월 3개 단체는 지난 3월 9일 열린 기념행사 관련 간담회에서 지방 공휴일 지정을 시와 시의회에 제안했다. 시의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이틀만에 정무창 의원 대표 발의로 지방 공휴일 지정 조례안을 상정했다가 시민 전체의 의견수렴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심의·의결을 보류했다.
지자체 공휴일에 관한 법률은 법정 기념일 중 지역에서 특별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 날을 자체 공휴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1997년 5·18이 국가기념일로 승격된 이후 5·18을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제안과 논의는 수차례 반복됐으나 정치권과 여러 직능단체의 이해관계에 맞물려 매번 무산됐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